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믿을 수 없는 서술의 수사학과 독서의 역동적 과정 (The Rhetoric of Unreliable Narration and The Dynamics of Reading Process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6
30P 미리보기
믿을 수 없는 서술의 수사학과 독서의 역동적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74호 / 217 ~ 246페이지
    · 저자명 : 박진

    초록

    ‘믿을 수 없는 서술’은 최근 들어 다시 주목받고 있는 개념으로, 기존의수사학적・윤리적 접근과 독자 중심의 인지론적 접근을 종합하면서 새롭게재개념화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관련 논의들은 수사학적 관점의 소설미학 연구와 인지론적 관점의 독서 교육 연구로 양분돼 있어, 이 같은 이론적 성과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수사학적 관점의 연구들은 윤리적 차원이 배제된 ‘미적 수사학’의 제한된 영역에 머물러 있으며, 인지론적 관점의 연구들은 ‘믿을 수 없음’의 규준을 실제 독자 개개인의 가치관에 맡김으로써 해석의 타당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이에 이 글에서는 믿을 수 없는 서술의 수사학이 지닌 다층적 효과와독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참여로서의 독서 과정을 연계하여 살필 것이다.
    이로써 다양한 실제 독자가 어떻게 신빙성 판단의 타당성을 확보하면서도능동적인 의미 산출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정이현의 「순수」와 임현의 「고두」를 통해, 서술의 신빙성을 판단하고 의미화하는 독서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순수」에서는 저자적 행위 주체(내포저자)가 배치한 텍스트의 신호들에 근거해 서술의 비신빙성을추론하는 ‘저자의 청중’으로서의 독자의 역할과, 이 같은 신빙성 판단을 토대로 저마다의 신념과 가치를 지닌 실제 독자가 의미 생성에 참여하는 과정을 살핀다. 이어서 「고두」에서는 ‘너’라는 수화자의 존재로 전경화된 믿을 수 없는 서술의 수사학이 독자에게 윤리적 입장 설정을 촉구하는 양상과, 이에 대해 실제 독자가 보일 수 있는 각기 다른 반응들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관점과 텍스트 전반(또는 내포저자)의 관점 사이의 간극을 매개로, 개별 독자의 가치관이 적극적으로 투영된 의미를 생성하는 독서 과정의 의의를 확인할 것이다. 이는 수사학적・윤리적 접근과 인지론적 접근을 종합하여 믿을 수 없는 서술을 더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한 모색의 성격을 띤다.

    영어초록

    “Unreliable narration” is a concept that has been gaining attention again recently. Unreliable narration is being reconceptualized, combining rhetorical/ethical approaches and reader-centered cognitive approaches. However, domestic discussions do not fully reflect this achievement. The studies from a rhetorical point of view remain in the limited realm of “aesthetic rhetorics” with no ethical dimension. On the other hand, studies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also raise the question for the validity of interpretation by leaving the norm of “unreliability” to the value of each reader. In this essay, we will explore the unreliable narration's rhetoric and the reader's reading process together. In doing so, we would like to examine how flesh and blood readers can ensure the validity of judgement on reliability while contributing to the active formation of meaning. In the main chapters, we will analyze unreliable narration in Jeong, Yi-hyeon's Purity and Lim, Hyeon's Go-doo. In Purity, we will examine the role of “authorial audience” to infer the unreliability of narration and the process by which real readers with their own beliefs and values participate in the creation of meanings. In Go-doo, we will take a look the rhetoric of unreliable narration which urges readers to set up ethical positions, and different reactions that the real readers may show. It will confirm the significance of unreliable narration as a reading experience for each of real reader. This work would be to combine rhetorical/ethical and cognitive approaches to further discuss the unreliable nar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