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수막새의 기초적 검토 (Basic Review of the Convex Roof-end Tiles of Baekje Unearthed from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05
33P 미리보기
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수막새의 기초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24호 / 169 ~ 201페이지
    · 저자명 : 이병호

    초록

    이 글은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 수막새의 형식별 특징과 제작기법, 분포양상 등 기초적인 내용을 분석했다. 익산 미륵사지에서는 4,410점의 수막새가 출토되었는데 그중 1,671점이 백제 때 만들어졌다. 백제 수막새는 소판연화문(A~D형식), 인동판연화문(E형식), 단판연화문(F·G·I형식), 복판연화문(복판B형식) 등 네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인동판과 단판에 속하는 E·F·G형식은 미륵사지 말고 다른 유적에서 출토된 적이 없고, 전체의 93.3%를 차지할 만큼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륵사지의 창건기에 제작된 ‘미륵사식수막새’라 할 수 있다. A~D형식과 I·복판B형식은 다른 유적에서도 발견되고 전체의 6.2%에 지나지 않아 보수용 기와로 판단된다.
    미륵사 창건기에 제작된 수막새는 1단계인 F-1·2형식, E-1·2형식 기와와 2단계인 F-3형식·G-1·2형식으로 구분된다. 그 중 E-2형식은 E-1형식, F-2형식은 F-1형식으로 ‘改笵’한 것이 확인되었다. F-2형식과 E-2형식은 거의 동시기에 만들어졌지만 문양이나 출토양상에서 볼 때 F-2형식이 약간 먼저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G-1·2형식은 백제에서는 처음으로 無文 外笵[枷型]을 사용한 것이 확인되었다. 1단계의 F-2·1과 E-2·1형식은 620년대, 2단계의 F-3형식과 G-1·2형식은 639년을 전후하여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E·F·G 등 미륵사식수막새의 건물지 별 분포 양상은 표1과 같다. 그 중 東院이나 강당지 일원의 수막새 출토양상을 분석한 결과 동원 금당이 강당보다는 먼저 건립되고, 그 후 회랑이나 승방이 부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미륵사의 삼원이 중원-서원-동원으로 순차적으로 완성된 것이 아니라 三院의 주요 전각이 먼저 조영된 다음 승방이나 회랑이 부가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basic content of the convex roof-end tiles of Baekje unearthed from the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including their types, features, production skills, and sites of their discovery, etc. About 1,670 of the 4,410 convex roof-end tiles found at the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were made during the Baekje period. The convex roof-end tiles of Baekje ar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those decorated with small-petal lotus flower patterns (types A to D), those with scroll and vine/lotus flower patterns (E), those with single-petal lotus flower patterns (F, G and I), and multiple-petal lotus flower patterns (B). Types E, F, and G have only been unearthed from the Mireuksa Temple site, and account for 93.3% of the tiles found at the site. As such, they are called Mireuksa-style convex roof-end tiles, which were made when Mireuksa Temple was built. The other types are also found on other sites, and they account for only 6.2% of the tiles found at the site, so they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for repair works.
    Convex roof-end tiles that are thought to have been made in the early days of Mireuksa Temple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ypes: Types F-1 & 2, E-1 & 2 (Phase 1); Types F-3, G-1 & 2 (Phase 2). Types E-1 and F-1 are found to be improved versions of E-2 and F-2, respectively. It is conjectured that Types F-2 and E-2 were made in almost the same period, but that F-2 was made first based on their patterns etc. Types G-1 & 2 proved that a pattern-less outer wooden mold was used for the first time in Baekje. It is estimated that Types F-1 & 2, E-1 & 2 (Phase 1) were made circa 620; while Types F-3, G-1 & 2 (Phase 2) are thought to have been made around 639.
    The sites of the buildings of the temple where the “Mireuksa-style” convex roof-end tiles (types E to G) were unearthed are shown in Table 1. It is thought that the Eastern Main Hall was built first, followed by the Lecture Hall, the roofed corridors, and the monks’ quarters, i.e. the main buildings were built first, followed by the corridors and the monks’ quar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