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國立中央博物館 新受 <學圃讚 山水圖>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Recent Acquisition, “Landscape with a Poem by Hakpo”)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7.12
19P 미리보기
國立中央博物館 新受 &lt;學圃讚 山水圖&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2호 / 187 ~ 205페이지
    · 저자명 : 이수미

    초록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은 조선 전기의 <山水圖> 1점을 구입하였다. 이 작품은 국립중앙박물관이1916년부터 소장하고 있는 다른 조선 전기의 <學圃讚 山水圖>와 작품 구성 및 양식, 장황 형태를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1차적인 중요성이 있다. 특히 두 작품 모두에 “學圃寫”의 문장이 써 있다는점에서 그 관련성과 배경을 밝혀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學圃讚 山水圖>(이하 학포찬 산수도1)에 대한그간의 논의 사항을 정리한 후, 두 작품을 비교하면서 새로 인수한 <學圃讚 山水圖>(이하 학포찬산수도2)의 특징과 중요성을 자세히 소개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최근 소장하게 된 <산수도2>와 기존에 소장하고 있던 <산수도1>을 비교한결과, 화면 구성, 筆墨法, 산수와 인물, 사물 묘사, 채색 감각 등 표현 방법이 동일하여 16세기전반에 동일한 화가가 두 작품을 거의 동시에 그린 것으로 판단된다.
    두 작품에 있는 써 있는 글자의 字形과 筆劃의 각도가 일치하여 동일인의 글씨임을 알 수있다. 또한 동일한 도장이 각각 날인되어 있는데 도장의 크기가 1.8×1.6cm로 똑같다. 이 도장을“梁彭孫藏”으로 읽어서 그간 學圃가 梁彭孫으로 인식되는 근거가 되기도 하였는데 “罔齒齋藏”이라는새로운 판독안이 제시되어 학포를 양팽손으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약해졌다. 두 작품에 시를 쓴인물인 “學圃”의 필치가 동일하고 落款도 같아서 한 사람이 讚詩를 쓴 것으로 생각되나 작품의그림과 글씨의 작성 인물에 있어서 學圃 梁彭孫(1488~1545)과는 관계가 없다고 판단된다.
    오히려 “文人畫家 梁彭孫”이 그린 감상용 작품이라는 성격에서 해방되어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이 작품의 작가와 내용을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갖게 되었다. 글씨는 그림이 완성된 후에 추가된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찬시를 쓴 인물로서 備邊司, 奎章閣 등 중요 官署의 書吏를 지낸 중인徐慶昌(1758~)을 제시해 보았다.
    이번에 두 작품이 같은 종이 바탕에 그려졌다는 것이 밝혀짐으로써 양자가 연관성을 가지고동시에 제작되고 감상되었다는 점을 방증할 수 있게 되어 이들 작품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두 작품은 기존에 알려진 16세기 전반기의 전 안견필 <소상팔경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소상팔경도>와 비교하면 형식화되지 않은 세부 묘사를 보여주며, 보다입체적인 감각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들 두 작품은 景物 構成과 餘白 配置, 濃淡 調節에 뛰어나고筆墨, 筆致 驅使力이 능숙하여 16세기 전반기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이미 알려진 산수화에 더하여상호 긴밀한 연계성을 갖고 있는 산수화를 새롭게 입수하게 됨으로써 향후 조선 전기 산수화 연구에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recently acquired a landscape painting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work features a poem written by Hakpo (學圃).
    This painting's primary significance is its similar formation, style, and format of compilation to another work, “Landscape with a Poem by Hakpo”,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which has been in the museum's collection since 1916. Both works bear the statement “Written by Hakpo (學圃寫),” prompting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relevance and context of the paintings.
    This article aims to summarize the existing arguments regarding “Landscape with a Poem by Hakpo” (hereafter “Landscape with a Poem by Hakpo 1”) and present the respective features and virtue of the newly acquired “Landscape with a Poem by Hakpo” (hereafter “Landscape with a Poem by Hakpo 2”)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two pieces of art.
    The comparative study of these works reveals that both paintings were likely produced by the same artist at approximately the same time, since they exhibit similar formations, brush techniques, illustrating styles of the landscape, figures and objects, and the use of colors. Furthermore, the identical calligraphic style of the poems, the purported author of which is Hakpo, as well as the stamps displayed on them, prompts the conclusion that the acclamation poems were penned by the same person. It is presumed that Hakpo added the poem after the painting had been complete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is artwork was produced by Yang Paengson (梁彭孫, 1488~1545), whose sobriquet was Hakpo. However, it is presumed that Yang has no connection to the work.
    Rather, Seo Gyeongchang (徐慶昌, 1758~), from the middle class (中人), who worked as a low ranking official in major departments, including Bibyeonsa (備邊司, Border Defense Council) and Gyujanggak (奎章閣, Royal Archives) is a more plausible candidate for Hakpo.
    This article argues that these works were painted on the same type of paper, inducing the conclusion tha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ere produced at the same time, thus further increasing their value. With the excellent composition of the landscape and the margin, exquisite control of lighting and shade, and skillful use of brush and ink, these paintings are considered masterpieces of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The recent acquisition of a painting that is closely related to well-known landscape painting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resources for further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