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丁若鏞 鄕遂論의 추이와 그 함의 (The Trend and Implications of Jeong Yak-yong’s Theory on Hyangsu-System)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8
49P 미리보기
丁若鏞 鄕遂論의 추이와 그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4호 / 363 ~ 411페이지
    · 저자명 : 윤석호

    초록

    본 논문은 유교 경전에서 전하는 鄕遂制의 원형과 이에 대한 先儒의 일반적 독법, 그리고 이를 비판하며 제기된 丁若鏞의 鄕遂論과 그 만년에까지의 변화과정을 계기적으로 논증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그 특징은 여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周禮』는 향수제의 실상을 가장 자세히 전하고 있는데, 鄕과 遂의 성격과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둘째, 鄭玄은 향을 농업지대로, 그 위치를 왕성으로부터의 100里로 간주했다. 그리고 6향의 가호로부터 6軍이 징발된다고 했다. 이와 같은 讀法은 기내를 천자의 관료에의한 통치지역과 봉건으로 양분했던 견해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셋째, 정약용은 『尙書知遠錄』에서 향수론을 처음으로 체계화했다. 그는 향을 비농업지대로서 도성 내부로 위치한다고 보았는데, 이는 이후에도 변치 않았던 핵심 논지였다.
    넷째, 『經世遺表』에서부터 만년의 『尙書古訓』에 이르기까지 정약용의 향수론은 변화했다. 그 주요한 추이는 3가지로, 親兵 징발지역의 확대, 기내봉건의 부정에 기초한 官 守 방식의 일원화, 모든 도읍에서 ‘營國’의 원리와 ‘6鄕⋅6遂’의 보편화이다.
    다섯째, 『經世遺表』에는 『尙書知遠錄』 단계의 향수론에서부터 『尙書古訓』 단계의 향수론에 이르기까지의 다층적인 변화상이 확인된다. 한편 신작과의 서신에서 표명된 향수론은 다산 최종의 향수론으로 이행하기 직전의 견해로 보인다. 이로써 볼 때, 『經世 遺表』는 『尙書知遠錄』 시기의 古法 이해 하에서 착수되어, 신작과의 서신 이후에까지수정된 것으로 이해된다. 뿐만 아니라 다산은 초기의 향수론에 근거하여 〈典堵司〉의도성개혁안을 마련했으며, 이후 향수론의 변화에 따라 수정된 도성개혁안을 〈匠人營國 圖〉에서 개진했다. 그리고 〈장인영국도〉에서의 가호편제방식은 〈敎民之法〉과 〈科擧之 規〉 등에서 제기된 교선개혁안의 제도적 토대가 되었다.
    여섯째, 『經世遺表』에 피력된 다층의 향수론은 『經世遺表』가 다산의 견해변화에 따라 수정[혹은 가필]되었음을 보여주는 주요한 내용적 증거이다. 그리고 『經世遺表』의집필과정에 대한 이같은 추정은 향후 『經世遺表』(김영호 소장본)의 서지적 분석을 통해보다 명확히 논증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substantiate Jeong Yak-yong’s view of Hyangsu-System under comparison with senior Confucian scholars. The characteristics can be arranged into six categories.
    First, Hyangsu-System was most detailed in Zhou-li, with no stipulation about the character and the location of Hyang and Su.
    Second, Jung Hyun regarded the character of Hyang as agricultural zone, and its location as 100 Li (里) from the palace. He thought that Six-Army (六軍) would be taken out of the Six-Hyang (鄕)’s people. Such interpretation is closely linked to the regional division of the governing method in Kinae (畿內) into Feudalism and Bureaucracy.
    Third, Jeong Yak-yong systematically presented the theory on Hyangsu-System in Sangseo jiwonrog, and regarded the character of Hyang as non-agricultural zone, and its location as the inside of the Capital, which was a key point that has not changed since then.
    Fourth, from Gyeong’se yupyo to Sangseo gohun (1834), Jeong Yak-yong’s theory on Hyangsu-System has changed consistently with three trends. That is, the expansion of areas where Six-Army (六軍) were conscripted, bureaucratic domination everywhere in Kinae,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building the Capital into all kinds of Eup (邑).
    Fifth, Dasan’s theory on Hyangsu-System very similar whith his final theory was founded in Gyeong’se yupyo and the letters to Sin Jak (申綽) Sixth, Jeong Yak-yong’s multi-kinds of theories on Hyangsu-System all appeared in Gyeong’se yupyo. It means that he began to write Gyeong’se yupyo under the opinion about Old-Law (古法) detailed in Sangseo gohun, and revised it several times to reflect the changing vie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