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경성 내 가로수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f Street Trees in Gyeongseong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02
41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경성 내 가로수에 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98호 / 145 ~ 185페이지
    · 저자명 : 김해경

    초록

    일제강점기 경성은 근대건축물과 직선 도로 등으로 구축된 근대도시로 서술된다. 도로는 각 공간을 연결시키는 선적 요소로 부각되었지만, 도로의 중요 구성요소인 가로수는 주목받지 못했다.
    우리나라 가로수는 삼국시대부터 식재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고려시대 도로 발굴 유적에서 가로수 흔적이 찾을 수 있고, 조선시대에는 왕실과 관련된 도로에서 등장한다. 1905년 통감부 조사 후 가로수 식재 권장과 함께 실질적인 식재가 진행되었다. 1917년에는 구체적인 식재 기준의 마련, 1938년 법적 기준이 제정되었다. 식재 목적은 도심지 미화, 도시위생 향상, 녹음 제공, 도심지 경관 향상이었다. 이때 가로수는 도심지라는 환경에 적합한 생존력, 통행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수형, 차량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지하고 등 다양한 조건이 제시되었다. 가로수 관리를 위해서는 지주목 설치, 훼손 시 벌금, 시민의 가로수 애호 고취, 적정한 전지와 전정을 실시했다. 가로수 도입 초기에는 다양한 수종이 식재되었으나 생존율을 고려하여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L.)의 비율이 높아졌다. 당시 지식인들은 가로수를 경성의 근대성을 표현하는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고, 미디어를 통해서 묘사했다. 이에 현재 서울에 소재한 역사성을 지닌 가로수의 발굴과 적절한 관리가 요구되는 바이다.

    영어초록

    Gyeongseong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is described as a modern city of supporting piles constructed with modern buildings and straight roads. The road was brought into relief as a linear element connecting each space while the street tre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road did not receive attention.
    There is a record that Korean street trees have been plant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re are traces of street trees in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streets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and they appear in the street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fter a survey of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of Korea in 1905, the substantial plantation was carried out, along with the plantation of street trees. In 1917, concrete standards for plantation were prepared, and in 1938, legal standards were enacted. The purposes of the plantation were to beautify the downtown area, to improve urban sanitation, to provide the shade of trees and to enhance the landscape of the downtown area. At this time, for street trees, various conditions were suggested, including survival power appropriate for the environment of the downtown area, the shape of trees not harming the passengers and the branching height not disturbing the vehicle traffic. For the management of street trees, supporting piles were installed, fines were imposed when damaged, citizens' love for street trees was encouraged and appropriate pruning and trimming were conducted. Various species of trees were plant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introduction of street trees, but considering their survival rate, the ratio of the plantation of Platanus occidentalis L. increased. At the time, intellectuals recognized street trees as the elements expressing the modernity of Gyeongseong. Thus, currently, it is necessary to excavate and appropriately manage historic street trees located in Seo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