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회화와 공예에 나타난 수박문 (Watermelon Motifs in the Paintings and Handcrafts of Late Jose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09
31P 미리보기
조선 후기 회화와 공예에 나타난 수박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7권 / 3호 / 62 ~ 92페이지
    · 저자명 : 구혜인

    초록

    이 글은 수박이란 과일이 회화와 공예란 시각문화 영역에서 하나의 주요 도상으로 채택된 배경과 현상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시각문화 속에서 수박의 의미를 씨가 많은 과일로서 자식을 많이 낳기를 기원하는 기복적 차원으로 일관되게 해석해왔다. 물론 ‘기복’은 조선 후기 시각문화의 보편적 기저임에는 틀림없지만, 조선후기 수박문은 기복 외에도 복합적인 사회적 맥락이 오랜 기간 얽혀진 결과물이다.
    그 맥락이란 첫째, 다른 과일에 비해 유달리 수박의 내부 구조를 즐겨 감상하던 문인문화의 형성, 둘째, 조선시대 여름철 의례용 필수 제물이 되어 의례 도상으로 부각되는 과정, 셋째, 돌아가신 부모님을 떠올리며 죽을 때까지 차마 수박을 먹지 않는 효행 미담이 17세기 이후 효의 전형으로 구축되면서 조선 후기 시각문화에서 효의 상징물이 되는 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조선 후기 감모여재도, 책거리, 감로도 등에 그려진 화면 속 수박은 대부분 꼭지를 포함한 윗부분이 잘린 채 내부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잘린 면을 통해 빨간색, 흰색, 초록색으로 이루어진 다층적인 구조와 검은 씨들이 드러나 있다. 조선 후기 회화에서는 감모여재도·책거리·감로도의 수박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았다. 또한 조선 후기 회화 속 수박의 모습은 실제 수박이 진설되었던 방식과 수박을 진설하는 용기를 추정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다.
    공예에서는 수박의 형태를 본뜬 기형을 백토로 제작하고 양각기법을 이용하여 수박잎과 넝쿨을 모방한 백자 주자가 제작되었던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그동안 공예에서 문양군에 포함되지 못했던 수박잎문의 존재를 찾아냄으로써 조선 후기 수박이 회화와 공예에 폭넓게 걸친 소재임을 밝혔다. 더불어 회화 속에 나타난 수박 진설용기와 비슷한 형태의 공예기물을 연결 지음으로써 그동안 수박을 진설하는 용기로는 인식되지 못했던 여러 그릇의 쓰임새가 드러났다. 수박 받침 그릇의 형태를 판가름하는 데에는 용도와 크기가 명확히 명시된 『영정모사도감의궤』(1901)의 유서고기(鍮西苽器)를 기준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회화와 공예 속에서의 수박은 조선의 특수한 사회적 의미가 내포된 독특한 형태를 갖춘 소재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추출하기 위해 재질에 따른 학문적 장르의 경계를 넘어서서, 회화와 공예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선 후기 회화와 공예에 나타난 수박문’을 통해, 동아시아의 거대한 조류인 ‘기복’이라는 보편성 속에서 조선 사회만의 시각문화적 특수성을 찾아냈다는 점에 미술사적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watermelon motif that was developed into a major decorative motif for paintings and handcraft items mad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dominant view has been that the watermelon motif used by Korean artists in the past symbolized―as one can easily understand from the many seeds contained in the fruit―the good fortune of having many children. While it is true that the tradition of praying for good fortune through decorative motifs used for various works of art was firmly established in Joseon society, some of the motifs used in paintings and handicraft items made in the late Joseon period are related with a rather complex social context.
    First, literati artists of Joseon were fond of admiring this fruit and its attractive red flesh embedded with glossy black seeds. Second, watermelon had naturally been adopted as an essential offering to village deities and ancestral spirits at seasonal rituals held during summertime. Third, the fruit was often related with the legend of a filial son who never tasted it for the rest of his life after failing to bring one to his parents who wanted one so dearly. This legend has been cited as a fine example of filial piety, and the artists of late Joseon favored it as a subject matter for their art.
    The paintings of the Shrine Altar (Gammo Yeojaedo), Book Shelves (Chaekgeori), and Sweet Dew Rituals (Gamnodo) depict watermelons with one end sliced off to reveal its red inner flesh, white outer flesh, green rind and, more importantly, the tiny black seeds dotted around the red flesh. In these watermelon paintings of the Joseon Period the fruits exhibit an exciting range of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This study also deals with the discovery of a white porcelain wine jar in a watermelon shape complete with leaves and vines carved in relief. The pot shows that the watermelon motif was widely used to decorate pottery and other craftworks as well as painting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In addition, a ceramic vessel depicted in one painting suggests that the people of late Joseon used ceramic vessel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as watermelon holders. The ceramic vessels used to hold watermelons are studied on the basis of the “brass melon bowl” illustrated in Yeongjeong mosa dogam uigwe (The Protocol on the Copying of Royal Portraits) published in 1901.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way watermelons were used by late Joseon painters and potters as a symbolic subject matter for their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