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청전인당수의 역사민속학적 고찰 (A Study on Indangsu of ShimCheong-Jeon in a view of History and Folklor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7.11
36P 미리보기
심청전인당수의 역사민속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25호 / 235 ~ 270페이지
    · 저자명 : 송화섭

    초록

    『심청전』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古小說에 속한다. 이 작품은 1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해왔고, 200의 板本이 있을 만큼 백성들 사이에서 다양하고 널리 읽혀진 작자미상의 작품이다. 그동안 심청전 연구는 설화문학의 관점에서 국문학계에서 주로 전담해왔고 다양한 근원설화를 찾는데 초점이 모아졌다. 그러나 모든『심청전』은 한결같이 첫 들머리에 중국 송나라 건국 초기(宋太祖立國之初)를 시대적 배경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 그리고 『심청전』의 전체적인 줄거리가 바다를 배경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클라이맥스는 남경상인들에게 팔려간 심청이가 인당수라는 海域에서 해신의 제물로 바다에 투신하고 바다 속의 용궁으로 인도된 뒤 다시 바다위의 연꽃위에서 환생한다는 내용이다. 그렇다면 남경상인들이 심청이를 빠트린 해역이 어디이며 어느 항로이냐는 점이 밝혀져야 한다고 본다.
    남경은 중국 항주만 깊숙한 곳에 위치한 항구도시이다. 그곳은 송나라의 수도였다. 이때에 송의 남경 상인들이 고려와 해상무역을 하면서 오가는 항로상에서 일어난 사건이 심청의 人身供犧 이야기이다. 남경상인들이 배를 타고 서해를 건너 고려수도 개성까지 가는 바닷길은 황해남부 사단항로였다. 환황해상에서 중국 남동지역과 한반도 사이에 열린 바닷길은 크게 세 항로가 있었다. 황해중부 횡단항로와 황해남부 사단항로와 동중국해 사단항로였다. 이 세 항로가운데 송의 남경상인들이 사용하였던 항로는 황해남부 사단항로였다, 특히 송의 태조는 즉위하자마자 해양진흥정책을 추진하면서 고려와 해상교역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송과 고려의 해상교역은 영파와 주산군도를 중심으로 동중국해 사단항로 또는 항주만을 중심으로 남경과 항주, 소주를 중심으로 황해 남부 사단항로를 통하여 한반도 연근해로 들어와 위도, 군산도를 경유하여 고려 개성으로 향하는 항로가 중심이었다.
    송과 고려 사이에 얼마나 많은 교역이 이뤄졌는지 영파에는 해양교역을 전담하는 高麗司, 高麗館이 조성되고, 보타도에는 高麗道頭라는 포구명이 생길 정도였다. 『심청전』의 남경상인들은 황해남부 사단항로를 이용하여 개성으로 가는 무역상들이었다. 그렇다면 인당수는 황해남부 사단항로에서 찾아야 한다. 송의 商船들이 개성으로 향할때 반드시 통과해야하는 서해의 관문이 변산반도의 위도와 격포 사이의 해역이다. 그 곳에 임수도가 있고, 그 해역에 인당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중국과 한국 사이의 해상항로상에서 위험한 관문에는 인당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당수는 황해중부 횡단항로의 관문인 백령도에도 있으며, 황해남부 사단항로 및 동중국해 사단항로의 길목인 변산반도 위도에도 있다고 본다. 통일신라의 良貝 사신들이 황해중부 횡단항로를 이용하여 당으로 건너가다가 백령도 앞바다 神池에서 제사를 지내고 상징적인 인신공희로서 사람이름을 쓴 木簡을 투장하고 있다. 이러한 의식은 변산반도의 위도에서 인양된 석인상을 투장하는 것은 동일한 해양신앙이라 할 수 있다. 인신공희의 대상은 해용왕이다. 용왕은 바다에서 폭풍우을 일으켜 항해를 어렵게 만드는 주체이다. 따라서 항해상에서 물결이 사납게 빙빙 돌고 솟구쳐 해난사고의 위험이 높은 해역이 신지라 하고 그곳을 인당수라고 할 수 있다. 그곳의 용왕에게 인신공희를 한 것이다.
    이러한 인신공희는 삼국시대 이래 환황해권에서 행해졌으며, 실제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것보다 인명목간 또는 석인형상을 투장하는 방식이었다. 이와 더불어 원양 항해를 하는 송나라 상인들은 바닷길의 안전을 위하여 관음신앙을 신봉하였으며, 이 해상들이 중국 주산군도의 관음신앙을 한반도 서해안에 유포시켰다고 본다. 두 사단항로의 출발지인 중국 절강성 주산군도와 승사열도의 관음신앙이 위도에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위도 대리마을 원당의 원당마누라 당신도가 백의관음보살도로 그려진 것이 그러한 사실을 입증해준다. 이처럼 『심청전』은 송대 중국 상인들의 항해문화와 해양신앙을 기저에 두고 태동하였으며, 인당수는 환황해권에서 해상교통의 요충지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영어초록

    ShimCheong-Jeon is a famous story of ancient times in Korea. The story is supposed to be written in the 18th century by an anonymous writer and there are 200 editions of it. The studies of ShimCheong-Jeon has been done mostly in Korean literature and focused on finding its origin.
    However every edition of ShimCheong-Jeon is started with a sentence of the early years of Song, China as its background. The stage of most of the story is the sea when the heroin, ShimCheong was sold to the merchants from Nanking, sunk into the sea as a sacrificial offering, lead to the Palace of the Sea King, and reincarnated in a lotus. Then it is questionable what sea it is where ShimCheong was sunk into and which route they took.
    Nanking is a harbor located in Hangzou bay in China which was the capital of Song Dynasty. ShimCheong-Jeon is a story happened in a route of overseas trade between Nanking and Corea. The sea route of the merchants of Nanking and Corea was Sadan sea route of Hwanhaenam-do.
    There were three sea routes between South-east of China and Korean Peninsula around the Yellow Sea. They were Hoingdan sea route in the middle and Sadan sea route in the south of the Yellow Sea and Sadan route in the East-China Sea. The sea route which the merchants in Nanking used was the Sadan route in the south of the Yellow Sea. Especially the founder of Song Dynasty promoted the policy of sea trade and strongly drove the sea trade between China and Corea. The major sea routes of the sea trade were Sadan route in the East-China Sea from Ningpo and Zhousan or Sandan route in the south of the Yeallow Sea from Hwangzhou Bay, Nanking, Hwnazhou, and Suzhou to Kaeseong, Corea through We-do and Gunsan-do.
    Corea-sa, an official building of Corea which managed the trades between Song and Corea, Corea-gwan, a motel for the people from Corea in Ningpo, and the name of a port, Corea-dodu, in Bota-do show that there were a lot of trades between Corea and Song. Then Indangsu should be searched for in Sadan route in the south of the Yellow Sea. The route which the merchants from Song had to pass toward Kaeseong was the sea area between We-do and Kyoukpo, which is a gateway to the East Sea. There is Imsu-do and Indangsu near Imsu-do. Therefore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is Indangsu in a dangerous gateway in the sea route between Corea and Song.
    So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Indangsu near Baekryeong-do, a gateway of Hoingdan sea route in the middle of the Yellow Sea, in Sandan sea route and near We-do, a gateway of Sandan sea route in the East-China Sea. The diplomatic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hila used Hoingdan sea route when they went to Dang Dynasty and had a religious service near Baekryeong-do and sank a wood on which a man’s name was written. The religious service served by sinking a statue of a man made of rock near We-do is the same kind. They were for the Sea King. He made storms and swirls and sailors sail difficult. A dangerous sea area with swirls was called Shinji or Indangsu. So the merchants served the religious services for the Sea-dragon praying for no swirls and storms in the area.
    The merchants in Song believed Kwanum belief praying for safe sailing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y were the people who brought the belief to the west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Gwanum belief in Zhousan and Sungsa, the origins of the two Sadan sea routes is seen in the picture of Dangsindo, a wife of Wondang in Dari village, We-do.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himCheong-Jeon was based on the sailing and the belief of the Sea-dragon and Indangsu is existed in a dangerous sea area of the sea routes around the Yellow S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