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시대 수막새 편년 (The Chronology of Eaves-end Til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from Gyeongju)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2.12
28P 미리보기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시대 수막새 편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85호 / 124 ~ 151페이지
    · 저자명 : 이인숙

    초록

    지금까지 경주의 막새 편년은 특정 유적 출토 고식(古式) 막새의 제작 연대가 해당 유적의 창건 연대라는 전제하에 창건기 막새들을 중심으로 수립되었다. 이 글은 존속 연대가 긴 건물지 유적에서 출토되는 수많은 막새 문양 중에서 과연 한두 가지 특정 문양의 막새를 창건 연대의 것으로 전제하는 것이 타당한가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그런데 평기와 연구사에 의하면 통일신라시대 평기와는 전기와 후기의 구분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통일신라시대 막새에 평기와가 잔존하는 자료를 찾아서 평기와 편년관을 토대로 전기와 후기 막새를 구분하고 그 안에서 기왕의 막새 연구사와 절대연대 자료를 근거로 막새를 분류한다면 타당성 있는 막새 편년 체계가 수립될 것이라 생각하였다.
    이에 먼저 장판 타날판 기와의 존재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는 경주의 통일신라시대 평기와를 검토하여 경주의 평기와도 경주 이외 지역의 것과 마찬가지 과정으로 변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중판 타날판 평기와가 접합된 막새를 통일신라시대 전기, 장판 타날판 평기와가 접합된 막새를 통일신라시대 후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통일신라시대 전기에는 복판, 세판, 중판, 혼판 연화문 수막새를 비롯하여 보상화문 등 여러 종류의 막새 문양이 유행한다. 그러다가 통일신라시대 후기에는 복판과 세판 연화문, 복판・세판을 중심으로 구성된 중판 연화문, 그리고 막새 턱면에 문양 장식이 유행한다. 고려시대 이후가 되면 꽃잎이 이중으로 구획되는 중판 연화문은 거의 소멸하고 복판 연화문의 꽃잎 끝이 갈라져서 하트형을 띠는 형태, 단판또는 세판 연화문 꽃잎 사이의 간판이 본래 꽃잎처럼 커져서 막새면에 가득 메워지는 형태로 변화한다.

    영어초록

    Previous studies of convex and concave roof tile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flat roof tiles dating to the Early phase and Late phase for the Unified Silla period.
    If so, a reasonable chronological scheme for eaves-end tiles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contexts in which roof tiles and eaves-end til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re found in association are examined and, based on the chronological scheme for the flat roof tiles, the manufacturing year of the eaves-end tiles are divided into the Early phase and Late phase. The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form classifying the eaves-end tiles, according to which a resonable chronological scheme may be established.
    The flat roof til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from Gyeongju were first examined, with focus on the issue of whether or not long plate paddled (長板打捺板) roof tiles had existed.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flat roof tiles of the Gyeongju region had changed according to a similar process observed for the roof tiles of other areas. Therefore, eaves-end tiles jointed with these long plate tiles were attributed to the Late phase, whereas eaves-end tiles jointed with medium plate (中板) roof tiles were attributed to the Early phase.
    In the Early phas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various types of eaves-end tile patterns were popular, such as lotus blossom motifs with multiple petals (複瓣), narrow petals (細瓣), double petals (重瓣), or mixed petals (混瓣) and the highly developed lotus flower pattern common to Buddhist paintings (寶相華文). In the Late phase, the following decorations were popular: lotus blossom motifs with multiple petals (複瓣) or narrow petals (細瓣), double petal lotus blossom motifs with multiple petals (複瓣) or narrow petals (細瓣), and patterns on the chin part of eaves-end ti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