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익산 제석사지 출토 수막새에 대한 일고찰 - 익산 왕궁리유적 및 미륵사지 출토 수막새와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onvex Roof-End Tiles Excavated at the Iksan Jeseoksa Temple Site)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7.11
49P 미리보기
익산 제석사지 출토 수막새에 대한 일고찰 - 익산 왕궁리유적 및 미륵사지 출토 수막새와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68호 / 175 ~ 223페이지
    · 저자명 : 전용호

    초록

    익산 지역에서 출토된 백제 사비기 수막새는 유적별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면서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여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익산 양식의 수막새가 등장하여 발전해 나갔다.
    먼저 익산 왕궁리유적은 6세기 3/4분기에서 7세기 1/4분기에 걸쳐 부여 지역에서 유행하였던 원형돌기식 및 삼각돌기식 단판연화문 수막새의 조와 기술을 익산 지역에 선별적으로 도입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익산 왕궁리유적과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원형돌기식 단판연화문 수막새는 나중에 나타나는 삼각돌기식 단판연화문 수막새의 발전 과정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판단의 형태가 원형돌기에서 삼각돌기로 바뀌었을 뿐 자방의 형태나 연자의 배치는 거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이중에서 익산 왕궁리유적에서는 낮고 편평한 자방 안에 1+8과의 연자가 배치된 삼각돌기식 연화문 수막새(왕궁리유적 B1형)과 자방 안의 연자 배치가 1+7+14과이면서 굵은 연자가 연접하여 배치된 것(왕궁리유적 C1형)이 7세기 1/4~2/4분기를 가장 대표하는 수막새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익산 제석사, 미륵사가 창건되면서 익산 지역의 백제 사비기 수막새의 형태 변화가 크게 달라지면서 익산 지역 나름의 독창적인 수막새 제작 기술이 각각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익산 제석사에서는 7세기 1/4분기에 부여 왕흥사지, 금강사지 등에서 유행하였던 곡절소판형 단판연화문 수막새를 조형으로 한 독특한 곡절소판형 단판연화문 수막새(제석사 D~F형)가 7세기 2/4분기에 새롭게 등장한다. 반면에 미륵사에서도 부여 정림사지, 동남리사지 등에서 7세기 1/4분기에 출토된 꽃술자엽형 단판연화문 수막새을 변형시키거나 인동자엽을 장식한 독특한 수막새가 나타났다. 이런 유형의 수막새 중에서 곡절소판형의 단판연화문 수막새는 제석사 뿐만 아니라 왕궁리유적에서도 사용되었으나, 미륵사의 인동자엽형이나 전형적인 6엽의 꽃술자엽형 단판연화문 수막새는 왕궁리유적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런 점에서 7세기 2/4분기에 익산 지역에서 왕궁으로서 왕궁리유적, 왕실중심사찰로 미륵사 사이의 기능이나 역할, 혹은 성격에 따른 기와 생산 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났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고려해 볼 수 있다.
    한편, 제석사의 화재(기원후 639년) 이후에 제석사가 다시 지어지면서 익산 지역에서는 기존의 곡절소판형 단판연화문 수막새에 인동자엽이 장식된 새로운 유형의 인동자엽형 단판연화문 수막새가 등장한다. 이는 익산 미륵사에서 7세기 2/4분기에 등장한 인동자엽이 제석사의 곡절소판형 단판연화문 수막새에 부가되면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익산 미륵사지에서는 이런 유형의 수막새는 사용되지 않았고, 기존 꽃술자엽형의 단판연화문 수막새가 형태 변이를 보이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나갔다. 결국 익산 지역에서 수막새의 생산과 유통의 측면에서 ‘왕궁리유적-제석사’, ‘미륵사’라는 2개의 체계가 각각 다르게 작동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백제 멸망을 전후로 한 7세기 3/4분기에 다시 익산 왕궁리유적을 중심으로 판육자형의 6엽복판연화문 수막새와 함께 8엽의 꽃술자엽형 단판연화문 수막새가 등장한다. 이들 유형의 연화문 수막새는 제석사지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왕궁리유적과 미륵사지에서만 출토되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익산 미륵사지에서는 6엽의 꽃술자엽형 연화문 수막새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영어초록

    The convex roof-end tiles during the Sabi period of the Baekje dynasty excavated in Iksan have diverse forms per historic site. Moreover, the convex roof-end tiles of Iksan display a unique form different from the Buyeon region as time passed.
    The Iksan Wanggung-ri historic site held the most critical position in the process, selectively introducing the technology making convex roof-end tiles in round projection and triangular projection single petal lotus patterns that were popular in Buyeo from the thi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to the first quarter of the 7th century.
    The convex roof-end tiles with round projection single petal lotus pattern excavated from the Iksan Wanggung-ri historic site and Mireuksaji temple sit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vex roof-end tiles with triangular projection single petal lotus flower pattern. In other words, only the end form of the convex roof-end tiles was changed from round projection to triangular projection, but the form of Jabang or arrangement of Yeonja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For the Iksan Wanggung-ri historic site, the most representative convex roof-end tile forms in the first to 2nd quarter in the 7th century are the convex roof-end tiles with triangular projection arranging 1+8 Yeonja inside flat, low Jabang(Wanggung-ri historic site B1 form) and convex roof-end tiles arranging thick Yeonja closely in a 1+7+14 form inside Jabang(Wanggung-ri historic site C1 form).
    With the significant change of the convex roof-end tile form during the Sabi period in Iksan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Iksan Jeseoksa and Mireuksa temples, the technology for making the unique convex roof-end tiles of Iksan region produced diverse convex roof-end tile forms. In Iksan Jeseoksa temple, the unique convex roof-end tiles with small, crooked projection with a single petal lotus pattern modeled after the convex roof-end tiles with the small, crooked projection with a single petal lotus pattern popular in the Buyeo Wangheungsaji temple site and Geumgangsaji temple site in the first quarter in the 7th century emerged. On the other hand, Mireuksa showed unique convex roof-end tiles decorated with honeysuckle seed leaf or deforming the convex roof-end tiles with a stamen seed leaf single petal lotus pattern as found in the 1st quarter in the 7th century in Buyeon Jeongrimsaji temple site and Dongnamrisaji temple site.
    The convex roof-end tiles with a small, crooked projection single petal lotus pattern among the convex roof-end tiles in the form above were used at the Wanggung-ri historic site as well as at Jeseoksa temple. The convex roof-end tiles decorated with honeysuckle seed leaf or convex roof-end tiles with conventional stamen seed leaf single petal lotus pattern having 6 leaves were not used at the Wanggung-ri historic site. In this aspect, it will be necessary to carefully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method of making tiles would vary depending on the functions, roles or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when comparing the Wanggung-ri historic site as the royal court and Mireuksa temple, the temple for the royal court, in Iksan in the 2nd quarter of the 7th century.
    Meanwhile, as Jeseoksa temple was rebuilt after a fire (BC 639), the new convex roof-end tile form with honeysuckle seed leaf single petal lotus pattern decorated with honeysuckle seed leaf to the existing convex roof-end tiles with a small, crooked projection single petal lotus pattern emerged in Iksan. The convex roof-end tile with honeysuckle seed leaf that emerged in the Iksan Mireuksa temple in the 2nd quarter of the 7th century was added to the convex roof-end tiles with a small, crooked projection single petal lotus pattern in Jeseoksa temple. The same convex roof-end tile was not used at the Iksan Mireuksaji temple site. The existing convex roof-end tiles with stamen seed leaf single petal lotus pattern continuously developed by changing form.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the two systems, ‘Wanggung-ri historic site-Jeseoksa temple’ and ‘Mireuksa temple’, operated differently in terms of th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of convex roof-end tiles in Iksan.
    Next, the convex roof-end tiles with stamen and 8 seed leaves single petal lotus pattern emerged along with the convex roof-end tiles of the Panyukja form with 6 leaves dual-petal lotus pattern around the Iksan Wangg ung-ri historic site in the 3rd quarter of the 7th century around the time of the collapse of the Baekje dynasty. The convex roof-end tiles with a lotus pattern in the forms above were not found at the Jeseoksaji temple site, but found only at the Wanggung-ri historic site and Mireuksaji temple site. However, the Iksan Mireuksaji temple site showed mainly convex roof-end tiles with stamen and six seed leaves lotus patter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