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우구스투스 시대 센서스와 시민 수 문제 (Augustan Census and Civium Capit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12
28P 미리보기
아우구스투스 시대 센서스와 시민 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대사연구 / 39호 / 115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덕수

    초록

    본 논문은 아우구스투스가 행한 세 차례의 센서스의 수치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생긴 논쟁을 소개하고 센서스 제도의 운영에서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변화를 해명하려는 것이다. 아우구스투스 등장 이전까지 36회의 센서스 기록이 확인되고 있는 데 공화정기의 마지막 센서스는 기원전 70/69년에 끝났다. 이후 41년만인 기원전 28년에 다시 센서스를 시행한 아우구스투스는 그의 치세동안 두 차례-기원전 8년과 서기 14년-더 센서스를 시행했다. 흥미로운 것은 35회까지 센서스에 등재된 시민 수가 10만 명에서 40만 명 사이로 공표되었고, 공화정기 마지막 36회 센서스인 기원전 69년의 수치가 91만 명으로 올라가더니 41년이 지난 기원전 28년에 아우구스투스가 행한 최초의 센서스에서 시민 수가 4백 6만 3천명으로 4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처럼 41년 사이에 공표된 시민 수가 4배 이상 급증한 것은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이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현대의 로마사가들 사이에 논란이 일게 되었다.
    아우구스투스의 센서스 수치에 대해서 일찍이 19세기 말에 벨로흐가 이른바 전통론으로 불리는 저인구추정론(low count scenario)을 제시한 바가 있고, 그의 견해는 20세기 후반까지 학계의 주류가 되었다. 저인구추정론은 공화정기 센서스 시민 수는 모든 성인남자시민 수를 뜻한 반면 아우구스투스 치세에 오면 성인 남자 시민 수에 그 가족인 부인과 자식들의 수가 더해졌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1924년에 테니 프랑크의 수정론인 고인구추정론(high count scenario)이 나와서 20세기 후반에는 전통론을 대체하는 분위기였다. 이에 따르면 공화정기나 아우구스투스 치세때나 모두 성인 남자 시민 수가 공표된 것으로 보고, 다만 이탈리아 동맹국에게 로마 시민권을 부여한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동맹국 출신 신시민들의 수치가 기원전 69년 센서스에서는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는 카이사르 시대 이후 언제인가 로마가 아닌 자치시나 현지에서 센서스 등록을 하는 제도가 시행됨으로써 그 수치가 네배나 증가되었다고 본 것이다. 최근 양 이론을 비판하면서 사스키아 힌에 의해 신수정론이라 부를 수 있는 중인구추정론(middle count scenario)이 나와 공화정기는 성인 남자 자권자 시민이, 그리고 아우구스투스 치세에는 여기에 여자와 아동 중 자권자가 포함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해 연구의 지평을 확대했으나 아직은 소수 의견에 머무르고 있다. 필자는 고인구추정론을 지지하며 아우구스투스가 공화정의 회복을 주창하면서 센서스가 명실상부하게 로마 시민 수가 센서스에 반영된 수 있는 합리적인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신시민이나 속주에 나가있는 로마 시민이 등록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프린키파투스 체제의 시민 정체성을 확대했다고 평가했다.

    영어초록

    The Res Gestae Divi Augusti (8.2-3) accounts for the census and the lustrum of 28 BC, 8 BC, and AD 14 and reports the numbers of citizens of those years , 4, 603,000, 4,233,000 and 4,937,000 respectively. The important point is that the number of the last census in 70/69 BC. was reported to be around 900,000 and so during 41 years the citizen population increased 4 times. How can we understand Augustan civium capita and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citizens? There have been three views on the interpretation of Augustan census figures; “the low count, high count and middle count scenarios”. This paper introduces and outlines the three views and presents my opinion. In the republican census, civum capita meant all the adult Roman male citizens. But Karl Julius Beloch(1886), who published the ground breaking demographic study, Die Bevölkerung der Griechisch-Römischen Welt claimed that women and children of citizen birth were included for the first time in the Augustan count. Until now his work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and defended by A. Toynbee(1965) and P. A. Brunt (1971) and became the ‘low count scenario’. But Tenney Frank criticized Beloch’s opinion, and became the forerunner of the ‘high count scenario’. followed by T. P. Wiseman(1969) and Elio Lo Cascio(2013). Recently Saskia Hin(2008) provided the main alternative to the low-and high-count scenarios. She argued that in the republican census out of all registered citizens only the number of adult males were published, Augustus included the sui iuris women and children with them. The current interpretations of population growth in the period 70/69-28 B.C. derived from the different estimates of the Augustan civium capita. In my opinion the high count scenario is the most persuasive for the present, but if anyone comes forth with new evidence in the future, I think we should have open mind and consider th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