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7세기 초 신라의 對隋 군사외교에 대한 재검토 - 圓光 乞師表의 사실성 검증을 중심으로 - (Reexamination of Shilla’s Military Diplomacy with the Chinese Su(隋) dynasty, in the early 7th century - Focusing on verifying the legitimacy of the Weon’gwang(圓光) Geolsa-pyo(乞師表)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8
38P 미리보기
7세기 초 신라의 對隋 군사외교에 대한 재검토 - 圓光 乞師表의 사실성 검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71호 / 47 ~ 84페이지
    · 저자명 : 윤경진

    초록

    이 논문은 圓光의 乞師表 사적이 후대에 가공된 것이며, 신라의 對隋 請兵 또한 실재하지 않았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걸사표를 출발점으로 하는 7세기 신라의 대중국 군사외교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의 첫걸음이 된다.
    신라의 대수 청병은 『隋書』에는 보이지 않으며, 당시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도 청병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 아니었다. 원광의 걸사표는 본래 그의 儒學 이해를 보여주기 위해 對唐 청병과 强首의 사적을 모티브로 가공한 것이며, 그의 활동 시기에 맞추어 對隋 청병으로 정리되었다.
    그 원전인 신라의 『殊異傳』은 고려에서 金陟明, 朴寅亮 등에 의해 改作 내지 潤 文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불교 계율보다 국가를 우선하는 그의 답변 내용이 생성되어 추가되었다. 『삼국사기』는 백제의 청병 사적에 맞추어 청병과 수 양제의 허락을 608년과 611년에 나누어 넣었는데, 608년은 607년의 편집 오류로 파악된다.

    영어초록

    Confirmed in this article is the fact that the story of “Weon’ gwang(圓光)’s Geolsa-pyo(乞師表, the Appeal for a Military Relief)” is actually a false one, fabricated during later periods, and that Shilla never asked the Chinese Su(隋) dynasty for military troops and aid.
    This new confirmation requires us to reexamine the Shilla dynasty’s history of military diplomacy with the Chinese dynasties in the early 7th century, which has been believed to have initiated with Shilla’s said ask for a Chinese military relief.
    The supposed fact of Shilla asking the Su dynasty to dispatch military troops cannot be found from Suseo(隋書, The Official History of the Su Dynasty), a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Shilla at the time, it does not seem likely that Shilla was in need of a foreign military aid. The story of Weon’gwang’s Geolsa-pyo appeal was apparently modeled after the story of Gang Su(强首) who had earlier asked troops from the Chinese Dang(唐) dynasty, and set during his lifetime, in an effort to emphasize Weon’gwang’s expertise in Confucianism.
    The original text, Shilla’s Su’i-jeon(殊異傳), was rewritten(or supplemented) by Kim Cheok-myeong(金陟明) and Park In-ryang(朴寅亮)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in the process Weon’gwang’s “response” -of a nature prioritizing the state’s welfare than Buddhist teachings- was newly created, and added to the original text. Then, based on this fabricated story, Samguk Sagi documented Shilla’s supposed request for troops as well as Su Emperor Yangje’s authorization of dispatching them, in the entries(years) of 608 and 611 respectively, of which the former seems to be an error of 60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