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滄江 金澤榮 壽序 연구 : 韓‧中 知識人 교류 연구의 반성적 검토를 겸하여 (A Study on Su-seo(壽序) : Celebratory Writing for Longevity) of Changkang Kim Taek-young(金澤榮), Including Introspective Consideration for Interchange Studi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3.11
38P 미리보기
滄江 金澤榮 壽序 연구 : 韓‧中 知識人 교류 연구의 반성적 검토를 겸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1호 / 171 ~ 208페이지
    · 저자명 : 김우정

    초록

    滄江 金澤榮(1850~1927)은 쇠망하는 조선을 등지고 망명을 택했고, 渡中 이후 명망가들과 교류하며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한 까닭에 한‧중 양국으로부터 공히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에 관한 연구 중에는 중국 문인의 가르침을 받았다거나 서구 문명과 유교 정신을 결합하여 근대화의 출구를 찾고자 한 계몽사상가로 변모하였다는 식의 일방적 수수관계로 규정한 사례도 보인다. 이 글은 김택영이 지은 壽序를 통해 이러한 주장이 편향적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김택영은 24편의 수서를 남겼는데, 이는 조선의 역대 문장가 가운데 압도적으로 많은 양이다. 본래 수서는 상업이 발달한 중국 明代 江南 지역에서 유행한 통속문의 일종이지만, 歸有光에 의해 應酬文字의 한계를 극복하고 문학적 생명력을 부여받았다. 김택영은 ‘震川의 아들’이라고 불릴 정도로 귀유광에 심취하였으므로 수서의 창작에 있어서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런데 그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당대의 현실과 내면 의식을 투영하거나 상인‧부녀자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해 애정 어린 시선을 보인 점, 일화를 통해 인물과 사건을 부각하는 수법 등 귀유광의 수서와 닮은 점도 있었지만, 서사를 중심에 두고 의론을 착종함으로써 찬술 의도를 드러내거나 진지하고 엄격한 내용을 간결 명쾌하고 자연스러운 문체에 담아낸 점과 같이 귀유광의 수서에선 잘 발견되지 않는 특징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귀유광의 수서를 폄하한 曾國藩을 강하게 비판하였는데, 그 논리의 근저에는 문학을 학문에 종속된 것으로 보지 않는 태도와 『史記』의 ‘神韻’ ‘神味’를 준거로 삼는 창작론이 있었다. 이는 기실 조선 문단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것으로, 김택영이 귀유광을 높게 평가한 것도 이러한 전통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다.
    김택영은 결코 19세기 조선이라는 시대와 공간을 이격하여 귀유광에게 가 닿은 것이 아니며, 봉건적 계급관념을 탈각하고 근대로 나아간 계몽사상가도 아니었다. 망명 기간 중 중국의 자유로운 학문 풍토의 영향을 받았지만 儒學과 단절하지 않았고 서양을 新學을 부정하는 모습도 보였다. 김택영 학문적 특징과 문학적 특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면 그의 학문과 문학의 형성에 영향을 끼친 한‧중 양국의 모든 요인들이 균형 있게 고려되어야 마땅하다.

    영어초록

    Changkang Kim Taek-young(1850~1927) chose asylum, leaving declining Joseon dynasty. After defecting to China, interacting with men of repute, he did writing work. So, he drew attention from both Korea and China. But, among studies on this activity, there is a case that this was prescribed as lopsided receiving relation in the style that he changed into a philosophe who tried to seek exit of modernization, getting a lesson from a Chinese literary man or uniting Western civilization and Confucian spirit. This writing was intended to show these suggestions are deflective through Su-seo written by Kim Taek-young.
    Kim left 24 pieces of Su-seo, and these are overwhelmingly lots of quantities among all writers in Joseon. Originally, Su-seo is a kind of colloquial writing which was popular in the Jiangnan Region in Ming China where commerce developed; however, overcoming the limit of Eungsu letters by Gui You-guang, it was given literary life. Since Kim was absorbed in Gui You-guang as much as he was called “son of Jincheon(震川)”, Kim was influenced a lot by Gui in creation of Su-seo.
    By the way, after looking into the features of Kim’s writing, though there are similar points with Su-seo of Gui You-guang like reflecting reality and inner consciousness of Kim’s time, showing a fond look on second-class citizens such as merchants, women, etc., and standing out characters and events through anecdotes; by collecting arguments centered on narration, like presenting his writing intention or containing serious and strict contents in his simple and natural writing style, his own features that were not found out in Su-seo of Gui You-guang could be checked.
    Also, Kim criticized strongly Zeng Guo-fan who denigrated Su-seo of Gui You-guang. In the basis of Kim’s logic, there were an attitude that literature is not subordinate to learning and a creation theory that made “superb spirit(神韻)” and “superb taste(神味)” of Shiji(史記) as a standard. In fact, these were things that Joseon’s literary circles brought up consecutively, so the fact that Kim Taek-young evaluated Gui You-guang highly can be understood in this traditional extension.
    Kim did not touch Gui You-guang by dividing time and space called 19th century Joseon dynasty, and also he was not a philosophe who got rid of feudal class concepts and went forward into modern era. Though he was influenced by Chinese free learning characteristics during his exile in China, he did not break off Confucianism and showed a look to deny Western new sciences. If we look at academic and literary features of Kim Taek-young objectively, it is suitable that all factors of both Korea and China which influenced the formation of his study and literature should be considered even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