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茶山의 庸學⋅孟子에 대한 이을호의 洙泗學的 硏究 (Lee Eul-ho’s Study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Great Learning and Mencius of Jung Yak-yong in the Aspect of Susa Learning(洙泗學))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0.10
30P 미리보기
茶山의 庸學⋅孟子에 대한 이을호의 洙泗學的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19호 / 59 ~ 88페이지
    · 저자명 : 이형성

    초록

    현암(玄庵) 이을호(李乙浩)는 일찍이 사상의학(四象醫學)을 배워 한의학(韓醫學) 부흥에 노력하였다. 더욱이 향리(鄕里)에서는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고자 민족운동청년단체를 조직하여 항일의지 및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도 하였다. 그의 민족의식 고취는 일본 경찰에 피체되는 원인이 되어, 이을호는 1년 반 동안 수감의 고초를 당하였다. 그는 고초의 기간 동안 불굴의 의지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를 탐독하면서 그 책 속에 정약용의 자주적 정신이 내재하였음을 일견(一見)하고 자신의 학문방향을 다산학(茶山學) 연구로 선회하였다.
    이을호는 다산학을 강의하면서 더욱 정약용의 경학사상에 몰두하여, 그의 경학사상을 수사학적(洙泗學的)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이을호가 말한 ‘수사학(洙泗學)’은 정약용이 자주 언급하였던 ‘수사(洙泗)’에서 원용한 것이지만, 그것은 불교를 수용한 주자학적 세계관을 벗어나 보다 더 유학(儒學)의 본원적(本源的) 세계관 즉 공맹학을 갈구하는 용어라 할 수 있다. 즉 ‘수사학’은 정약용이 본연(本然)의 유학을 복원하여 참다운 유교적 실천윤리관을 확립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려는 신조어이다.
    본 논문은 정약용의 용학(庸學)⋅맹자(孟子)에 대한 이을호의 수사학적 연구를 살펴본 것이다. 정약용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의 토대 위에서 자신의 학문을 확립하였다. 이을호는 『중용』⋅『대학』⋅『맹자』 연구에서 정약용의 ‘수기치인’이 바로 ‘수사학적 인간학’에 있다고 하고 이를 충실히 드러내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방향은 정약용의 학문의 핵심이자 또한 사회윤리의 기초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즉 이을호는 정약용이 본연의 유학을 회복하여야 당시 학문과 사회의 잘못된 폐단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에, 그의 학문경향을 ‘수사학’으로 정의하고 경전(經典)을 연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Hyunahm Lee, immersed in Jung Yak-yong’s Thought on Confucian Classics (經學思想), examined it in the aspect of Susa learning(洙泗學). Lee’s ‘Susa learning’ was quoted from ‘Susa (洙泗)’ that Jung Yak-yong often referred to; it, however, is a terminology that thirsted for more fundamental world of Confucianism, or Confucius and Mencius learning, beyond the world view of Neo-Confucianism which accepted Buddhism.
    This thesis looks into Lee Eul-ho’s studies on Jung Yak-yong’s Yong Learning(庸學) and Mencius in the aspect of Susa learning. Jung Yak-yong established his studies on the basis of ‘Sugichiin(修己治人: Governing others after one cleanses his body and mind).’ Lee Eul-ho, in his studie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Great Learning』, and Mencius, stated that Jung Yak-yong’s ‘Sugichiin’ lay in the ‘humanics in the aspect of Susa learning’ and devoted himself to making this known. In other words, his studies, through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 of ‘Sugichiin,’ sought to clarify the true human character(the human character in the aspect of Susa learning that Jung Yak-yong pursued).
    Lee Eul-ho tried to express the Confucian Thought on Confucian Classics in the aspect of Susa learning in Jung Yak-yong’s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Great Learning, and Mencius because it was the basis of the social morality as well as the core of Jung’s studies. Because Jung Yak-yong believed that the restoration of true Confucianism would correct the indictment of the society and studies of those days, Lee Eul-ho defined the tendency of Jung’s studies as ‘Susa learning’ and examined the scrip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