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隨園詩話에 채록된 淸代 시 수용양상 고찰 (A study on Acceptance Phase of Qing Dynasty's poetry in Sui Yuan-Shi Hua(隨園詩話)』)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06
48P 미리보기
隨園詩話에 채록된 淸代 시 수용양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32호 / 225 ~ 272페이지
    · 저자명 : 신재환

    초록

    본 논문은 ‘詩選集의 기능’이라는 詩話의 부차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隨園詩話』에 채록된 많은 淸代 詩가 어떤 목적으로 채록되고, 또한 그것의 채록 경로가 어떠하며, 나아가 채록된 시가 작가 유형별로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다량의 청대 시를 『수원시화』에 채록한 목적은 효율적인 ‘성령설의 표방’과 많은 ‘무명 시인의 시 발굴’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전자는 성령설의 본령인 ‘赤子之心의 간직’과 ‘獨抒性靈의 발현’, 그리고 당시 성행한 考據詩와 浙派 시에 대한 반발의 형태로 나타나며, 후자는 『수원시화』가 청대 많은 무명 시인들의 시를 세상에 알리는 창구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처음부터 자신의 시가 시집의 형태로 간행될 기회를 얻지 못했던 많은 무명 시인들의 시가 詩話라는 지면을 통해서만이 비로소 세상에 알려질 수 있다는 절박함과 『수원시화』에 채록된 청대 시의 방대함이 적절하게 맞아떨어진 결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청대 시의 채록 경로는 크게 작시자의 요구에 의한 채록과 원매의 적극적 수집에 의한 채록, 그리고 우연히 佳句를 접한 후의 채록이라는 세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 중 원매의 적극적 수집에 의한 채록은 대부분 성령설에 부합하는 작품으로 국한되며, ‘문호의 관대함’[門戶須寬]과 ‘채록의 엄격함’[采取須嚴]이라는 두 가지 채시 원칙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채시 과정에서 ‘차라리 넘쳐날지언정 빠뜨리지 말아야 한다.’[寧濫毋遺]는 압박감으로 말미암아 ‘채록의 엄격함’은 그리 철저하게 지켜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채록된 청대 시는 작가별로 趙翼과 蔣士銓을 비롯한 性靈派 시인, 査愼行과 厲鶚을 비롯한 浙派 시인, 유명 문인과 관원, 제자, 기타 무명 시인 등 다섯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당시 성령설과 첨예하게 대립하던 기타 4대 시학이론, 즉 神韻說과 格調說, 그리고 肌理說과 관련된 시인의 작품은 『수원시화』에 거의 채록되지 않았다. 이는 원매가 『수원시화』의 편찬을 마무리할 즈음에는 신운설과 격조설은 이미 쇠퇴의 길로 접어들기 시작했고, 기리설은 동조 세력이 상대적으로 미약했으며, 해당 시학이론을 표방하는 관련 시편을 『수원시화』에 몇 수 채록한다고 해서 확고한 우위를 차지할 수 없다는 현실적 어려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성령파 시인과 절파 시인은 대체로 전문 작가로 구성되었으며, 기타 유형의 시인은 모두 무명의 작가군에 속한 사람들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secondary role of Shi Hua(詩話) called ‘a function of poetry anthology’ and examined for what purpose a considerable number of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from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are recorded, what its recording path is, and furthermore, how the recorded poems are shaped by type of writer.
    The purpose of recording a large number of Qing Dynasty poems could be understood mainly in two aspects : the efficient advocacy of xinglingshuo(性靈說) and the discovery of poems by many unknown poets. The former appears in “expression of one’s own spirit(獨抒性靈)”, the main spirit of xinglingshuo(性靈說) and the form of opposition to the evidence poetry(考據詩) and Zhejiang school(浙派)’s poetry at the time, and the latter appears that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have faithfully fulfilled the role of a window to inform the outside world of the works of many unknown poets in the Qing Dynasty. It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the appropriate match between the urgency that many unknown poet’s works, which could not be published in the form of poetry from the beginning and the vastness of the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Three methods of collecting were commonly used : collecting at the request of an individual, active collecting of Yuan-mei(袁枚), and collecting of a fine poem poem by chance. Among them, active collecting of Yuan-mei(袁枚) was limited to works consistent with xinglingshuo(性靈說) advocated by him, and was carried out by the dual collection principles of ‘generosity of the gate’ and ‘strictness of the collec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Yuan-mei(袁枚)’s ‘strictness of the collection’ was not observed very thoroughly due to the pressure of “it would rather overflow than be omitted.” The collected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were classified into Spirit school(性靈派)’s poets, Zhejiang school(浙派)’s poets, a high official of the imperial court and general officials, disciples and relatives, a woman of high school and commoners by type of writer. Spirit school(性靈派)’s poets, Zhejiang school(浙派)’s poets are generally composed of professional writers, and all other characters belong to an unknown group of writers.
    The above content discussed in this paper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cited psalms are far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total sample of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recorded in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due to the limitation of small papers. Therefore, it will be a meaningful task to conduct a full investigation of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recorded in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and to organize and analyze them. This must be a task that must be preceded in understanding Yuan-mei(袁枚)‘s xinglingshuo(性靈說) and further studying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as ‘a function of poetry anth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