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말기 칠성도의 수노인 도상 연구 (A Study on the paintings of Jurojin(壽老人) of Chilseo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6
22P 미리보기
조선말기 칠성도의 수노인 도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6호 / 197 ~ 218페이지
    · 저자명 : 안희숙

    초록

    수노인도는 인간 수명을 관장한 수성(壽星)을 인격화하여 그린 것이다. 한국에서 최초로 수노인성을 표현한 예는 덕흥리 2호분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수노인성은 원형으로 묘사되어 있다.
    수노인을 인격화하여 그렸다는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찾을 수 있다. 지리서에는 수노인도를 전각 내부에 안치하고 제를 지냈다하였으며, 이를 통해 조선전반기에 수노인 그림과 제를 지낸 건물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전기 수노인 관련 그림이 희박한 요인은 수노인성제 축소와 숭유억불정책으로 소격소 혁파로 보고 있다. 이후 정조는 수노인제를 복구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조선말기에는 수노인 도상이 칠성도에 유입되어 유불 습합을 엿볼 수 있으며, 민화에도 유행한다.
    수노인의 신체적 특징과 세부도상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노인의 신체 특징은 長頭, 短身으로 19세기후반에는 얼굴과 머리 비율이 1:2 또는 1:3으로 정수리 부분을 과장되게 표현하며 20세기에는 정수리부분이 낮아지면서 차츰 쇠퇴된다.
    수노인과 함께 등장한 사슴과 두루마리는 초기부터 보이며, 동자는 명대에 나타난다. 학은 수노인이 공간을 이동할 때 이동 수단으로 표현되고 있다.
    지물은 두루마리, 홀, 영지, 여의, 호리병, 복숭아 등이 있다. 두루마리는 수노인이 두 손에 쥐고 있는 표현에서 이를 펼쳐보거나, 지팡이에 매단 모습으로 변화된다. 호리병은 이철괴의 지물로 수노인이 소지하면서 허리춤에 차거나 동자가 대신 들고 있는 유형으로 나타난다. 불로장생의 상징인 복숭아는 칠성도 보다는 주로 민화에서 수노인의 지물로 등장한다.
    이와같이 칠성도와 민화에서 수노인의 선호는 조선말기 수명 장수에 대한 사회문화적 풍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is a person who depicts Mercury, which controls human lif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 example of expressing the south pole star can be seen in Deokheung-ri No.2. Here, the star of longevity is described as a round circle. The record depicting the elderly as a person can be found in 『Shinjeungdongguk Yeoji Seungram. In the geography book, there is a record that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was placed inside the hall and the rites were held. Through this, it is estimated that there existed a building where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and ceremonies were held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eason that the picture related to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was scarce was the reduction of the rituals The star of longevity and the policy to suppress the worship of The star of longevity. After that, King Jeongjo tried to restore Suoinje, but failed.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was painted on Chilseongdo, which gives a glimpse of the combination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is also popular in folk painting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drawings of the star of longevity Painting are as follows. The star of longevity has a raised head and is shor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face-to-head ratio was 1:2 or 1:3, and the top of head was exaggerated. In the 20th century, it gradually disappears as the top of head lowers.
    Deer and scrolls that appeared together with the star of longevity were seen from the beginning, and Dongja(童子) appeared in Ming dynasty. Crane was expres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when The star of longevity moved through space.
    Belongings include scrolls, ganoderma lucidum, yeoui, gourd bottle, and peaches. The scroll changes from an expression held by the star of longevity in both hands to unfold it or hang it on a cane. The gourd bottle appears as a type held by the star of longevity in the hand, worn on the waist, or held by Dongja(童子) instead. Peaches, a symbol of immortality, are mainly painted in folk paintings.
    In this way, the preference of The star of longevity in Chilseongdo and folk paintings reflected the socio-cultural trend of longevity in the lat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