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디어 프레임에 등장하는 이상적 아동 -중국 애니메이션 숏폼 동영상 <베이비 버스>에 대한 콘텐츠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deal Children in Media Frame –Focusing on the Content of the Chinese Animated Short Video Series BabyBu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06
37P 미리보기
미디어 프레임에 등장하는 이상적 아동 -중국 애니메이션 숏폼 동영상 &lt;베이비 버스&gt;에 대한 콘텐츠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71호 / 53 ~ 89페이지
    · 저자명 : 완쥔, 박종래

    초록

    <베이비 버스>는 중국에서 널리 환영을 받은 아동 애니메이션 숏폼(animation Short-Form) 동영상 이며, 각종 대형 동영상 플랫폼(platform)에서 막대한 클릭(click) 수와 즐겨찾기 수를 나타내고 있다. <베이비 버스>는 아동의 취미에 적합하여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베이비 버스>의 인기는 이미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사회 현상이 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이비 버스>를 연구 대상으로 숏폼 동영상 작품의 주제별 연구를 진행하여 이러한 현상 이면에 어떤 논리가 포함되어 있는지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베이비 버스>를 비롯한 아동 애니메이션 숏폼 동영상의아동 이미지 구축 전략이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주제를 부모의 기대에 맞추고, 폭넓은 주제를 통해 이상적(理 想的) 아동 이미지의 양성을 표현하였다. 콘텐츠는 아동의 취미에 맞추고, 게임성 스토리 플롯(story plot)과 장면을 사용하며, 따라 부르기 쉬운 동요(童謠) 를 활용하여 콘텐츠 서사를 매우 생동적이고 재미있게 하였다. 셋째, 부모와아동이 모두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IP 이미지를 사용하고, 표현 방식에서 귀여운 이미지로 설정하며, 또한 선명한 색채와 즐거운 음악의 보조를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 <베이비 버스>에서 구축된 이상적 아동 이미지는 우선 부모의육아 기대를 만족시키고, 또한 애니메이션 숏폼 동영상 미디어 프레임을 통해아동에 대한 대중의 기대를 고정화시키며, 아동의 향상과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제는아동 성장의 현실을 존중하고, 지식과 계몽, 감성 지능, 가족애 등 주제가 아동에게 과도한 요구를 제시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콘텐츠 측면에서 부모가 기대하는 착한 아동의 기준을 적절히 낮추어 동영상에서 표현한 모든 방면에 뛰어난 이상적 아동 이미지를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고, 형식 측면에서 다원적인애니메이션 디자인을 통해 아동이 뛰어난 감각적인 세계를 체험할 수 있어야한다.

    영어초록

    As a popular children’s animated short video series in China, BabyBus is showing a huge number of clicks and add-to-favorites on all major video platforms. Taking Tiktok as an example, as of December 27, 2022, BabyBus had had 40.349 million likes and 7.475 million followers. It can be said that its popularity has become a social phenomenon that cannot be ignored. It seems that BabyBus caters to the interests of children and therefore is very well received by many of them. However, What the reasons lie behind this phenomenon? This study takes BabyBus as a case and conducts classification and organization of its short videos according to the theme. Through theoretical perspective of media frame, the BabyBus video collection is evaluated on three levels: theme, content, and form to determine how it shape the image of child as a media framework, and what kind of image of child is shaped.
    The study has revealed that the strategy of shaping children’s images through animated short videos for children, represented by BabyBus, involves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s theme selected caters to parents’ expectations as seen in the shaping of an idealized child image through a wide range of topics. Its content is aligned with the interests of children. By using gamified story plot and scenes and interweaving some catchy children’s songs, the content is conveyed in an lively and interesting way. Third, the introduction of animation intellectual property (IP) images, which are popular among both parents and children, combined with a presentation in an appealing style of bright colors and cheerful music, has led to significant success. Therefore, through the carefully crafted image from BabyBus, an idealized child image has been conceived: a well-behaved child with a sense of safety, healthy growth, a passion for knowing and exploring the unknown world, the capability of working with others as a team and a willingness to help those in need. The idealized image of children created by BabyBus primarily meets the expectations of parents. However, under the construct of the animated short video media frame, this image has the potential to solidify and raise the public’s expectations of children. Therefore, the study proposes that: Regarding the selection of themes, there is no need to put forward excessive requirements on children in terms of “knowledge and enlighten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family affection”. And In terms of content, parents’ expected standard of a well-behaved child should be lowered and the ideal all-round child image should not be overly rendered in the videos.
    Formally, the design should be in diversified forms of animation to allow children to enjoy the wonderful realm of the sen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