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숏폼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관련 숏폼 애니메이션 ‘라바(Larva)’시리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orytelling of Short-form Contents - focusing on short-form animation ‘Larva’ series related to COVID-19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10
16P 미리보기
숏폼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관련 숏폼 애니메이션 ‘라바(Larva)’시리즈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2권 / 5호 / 13 ~ 28페이지
    · 저자명 : 강정빈, 이상원

    초록

    세계적인 팬데믹(Pandemic)을 불러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일상생활은 물론우리가 접하는 콘텐츠의 내용과 형식, 종류에도 영향을 끼쳤다. 외출과 이동이 제한된 상황 속에서 온라인 영상콘텐츠 산업은 유튜브 및 OTT 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스토리텔링의 확장을 진행하고 있으며 장르의 틀과 한계를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숏폼 콘텐츠 중 하나의 분야로 애니메이션 방식을 사용한 ‘숏폼 애니메이션’은 영상 플랫폼을 이용하는 대중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주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활용되고있다. 이러한 방식은 인지도 높은 기존 애니메이션을 주제에 맞게 재구성하거나 노래와 율동을 통해쉽고 재미있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연령대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에 대한 정보와 예방수칙 등을 바탕으로 제작된 숏폼 애니메이션 사례를 알아보고 그와관련된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의 코로나19 관련 숏폼 애니메이션 중 유튜브에서 합산 조회수(2021.8.23기준)가 가장 높은 보건복지부의 ‘라바(Larva)’ 시리즈 세 편으로 선정하였다. 각 작품에 대해 배경, 플롯, 스토리, 캐릭터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의 결과, 사건의 단계 중 위기와 절정 단계가 핵심을 이루는 스토리텔링으로 설계되어 있었으며, 캐릭터 간의대립이나 갈등을 배제하고 하나의 사건을 중심으로 스토리를 풀어나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바이러스의 전파와 감염 그리고 사망의 절차를 표현함으로써 공포소구를 활용하여 짧은 시간에 극적인 연출로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었다. 숏폼 애니메이션의 매체적 특성과 스토리텔링은 팬데믹 상황에 대한 표현을 위한 특수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관련 숏폼 애니메이션 중에서도 일부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기에 향후 다양한 소재의 숏폼 애니메이션에 대한 폭넓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특수한 팬데믹 상황 속에서 숏폼 애니메이션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 할 때 스토리텔링의 특수성에 대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COVID-19’, which caused a global pandemic, has affected not only our daily lives, but also the stories, formats, and types of content we experience. In circumstances where going out and travel is restricted, the explosive growth of online video content industry based on YouTube and various OTT service platforms continues. Moreover, animation is expanding its storytelling through diverse media and is trying to overcome the framework and limitations of the genre. In particular, ‘short-form animation’, one of the short-form contents, is applied as a main means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OVID-19 to the public using video platforms. Since a well-known animation can retell its story to fit a specific topic or deliver information in an easy and fun way with songs and dances, it can be familiar to all ages.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storytelling by looking into cases of short-form animations produced based on information and precautions related to COVID-19.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ree ‘Larva’ series cre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South Korea, which recorded the most views on YouTube among short-form animations related to COVID-19 in Korea (as of August 23, 2021). The study focusing on the background, plot, story, and characters of each ‘Larva’ series shows that the episodes were designed with storytelling in which crisis and climax are key elements of the plot line, and that the story unfolded around a single event, excluding conflicts or confrontations between characters. Also, by expressing the process of virus spread, infection, and death, it dramatically conveyed a strong message in a short time using fear as the appeal. Thus, the medium characteristics and storytelling of short-form animation have specificity in the expression of the pandemic situa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analyzing only some of the short-form animations related to COVID-19, so further extensive studies on short-form animations based on various materials are requir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research data for the specificity of storytelling when delivering a message through short-form animation in special pandemic situ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