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카메라의 달리숏과 줌숏 움직임 차이에 따른 감성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Sensitiv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he Movement of Dolly Shot & Zoom Shot of Camer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6.07
12P 미리보기
카메라의 달리숏과 줌숏 움직임 차이에 따른 감성선호도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56권 / 327 ~ 338페이지
    · 저자명 : 염영영, 김종무

    초록

    시네마토그래프(Cinématographe)는 스틸(Still) 카메라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움직임을 기계적으로 복제하고 이를 대중에게 보여주는데 성공하였다. 초기 영화는 기술적 한계로 삼각대에 카메라를 고정하고 롱숏(Long Shot)의 단조로운 숏으로 촬영하였으나 카메라 기술의 발달과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고 촬영이 가능한 장비인 달리(Dolly), 트랙(truck), 지미짚 (Jimmy-Jib) 그리고 스테디캠(Steadicam)의 등장으로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카메라가 같이 움직이면서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시청자에게 전달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무빙숏으로 달리숏(Dolly Shot)과 줌숏(Zoom Shot)이 있다. 달리숏과 줌숏이 시각적으로 유사한 영상을 담아내지만, 렌즈의 초점길이 변화와 화각 크기에 따른 피사계심도(Depth of Field)와 원근감의 차이가 뚜렷하게 존재하는데, 이러한 차이에 대한 감상자의 감성평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에 본 연구는 달리숏과 줌숏의 차이에 따른 감성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달리숏과 줌숏으로 촬영된 2종류의 영상을 제작하고 전문가와 상의를 통해 추출한 총 4쌍의 어휘를 104명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달리숏과 줌숏차이에 따른 편안한/불편한 감성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줌숏보다 달리숏에서 더욱 편안한 감성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달리숏과 줌숏 차이에 따른 자연스러운/어색한 감성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줌숏보다 달리숏에서 더욱 자연스러운 감성선호도를 보였다. 셋째, 달리숏과 줌숏차이에 따른 지루한/흥미로운 감성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줌숏보다 달리숏에서 더욱 흥미로운 감성 선호도를 보였다. 넷째, 달리숏과 줌숏 차이에 따른 입체적인/평면적인 감성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줌숏보다 달리숏에서 더욱 입체적인 감성선호도를 보였다. 이는 달리숏이 줌숏에 비해 편안한, 자연스러운, 흥미로운 그리고 입체적인 감성선호도를 보인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가 무빙숏을 사용하는 촬영에서 감상자의 감성 선호도를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Cinématographe successfully reproduced mechanically the movement which could not be embodied by Still camera and showed it to the public. Although the movie was filmed with monotonous shot of Long Shot, fixing camera on the tripod due to technical limit at the beginning, more natural image could be delivered to viewers as camera moves with subject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camera technology & appearance of Dolly, track, Jimmy-Jib & Steadicam, the equipment with which photography can be realized without agitating camera. The representative moving shot is Dolly Shot and Zoom Shot. Although Dolly Shot and Zoom Shot make visually similar video, the difference of Depth of Field & perspective caused by change in the length of lens focus & the size of lens view angle. Since the appreciators' evaluation of this sensibility on such difference is less studie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sensibil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Dolly Shot & Zoom Shot. To this end, 2 kinds of image filmed with Dolly Shot & Zoom Shot were produced and 4 pairs of vocabulary extracted by discussing with expert became subject of question papers submitted to 104 obj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in the comfortable/inconvenient sensibil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Dolly Shot and Zoom Shot. Much more comfortable sensibility preference was observed in Dolly Shot rather than Zoom Shot.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in the natural/clumsy sensibil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Dolly Shot and Zoom Shot. Much more natural emotion preference was observed in Dolly Shot rather than Zoom Shot.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in the boring/interesting sensibil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Dolly Shot and Zoom Shot. Much more interesting sensibility preference was observed in Dolly Shot rather than Zoom Shot. Four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in the cubic/plane sensibil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Dolly Shot and Zoom Shot. Much more cubic sensibility preference was observed in Dolly Shot rather than Zoom Sho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Dolly Shot showed comfortable, natural, interesting and cubic sensibility preference compared to Zoom Shot. We wish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be used as basic materials in understanding appreciators' sensibility preference in the photography where moving shot is in 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