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브랜드 이미지 전달을 위한 코스메슈티컬 에스테틱 공간 디자인 개발 -C브랜드 에스테틱숍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Esthetic Space Design for the Delivery of Brand Image -Focusing on the C Brand Esthetic Shop Design Project-)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10
10P 미리보기
브랜드 이미지 전달을 위한 코스메슈티컬 에스테틱 공간 디자인 개발 -C브랜드 에스테틱숍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5호 / 301 ~ 310페이지
    · 저자명 : 이주형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과학의 발전과 사회 트렌드의 변화로 건강과 미에 대한 관심과 함께 화장품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두드러지는 경향은 심각한 환경문제인 미세먼지와 전자파노출 등 피부에 유해한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코스메슈티컬이라는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코스메슈티컬이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maceutial)을 합친 새로운 단어이다. 코스메슈티컬은 전문적인 피부 상담과 개선이 필요하므로 주로 에스테틱숍과 피부과 병원을 통해 판매하는 유통경로로 출발하였다. 따라서 고객과의 접점인 에스테틱숍의 공간디자인은 고객에게 치유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전달할 수 있는 이미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달하여 브랜드 인지도 확보와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을 통해 고객을 확장하여 제품판매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인 C브랜드의 에스테틱숍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인 C브랜드에서 운영하는 에스테틱숍의 공간디자인을 제안하므로, 먼저, 코스메슈티컬과 에스테틱의 의미와 공간구성에 대해서 이론적 고찰을 한다. 이론적 고찰에서 도출된 공간과 C브랜드 에스테틱숍에서 요구하는 공간을 접목하여 최종적으로 필요공간요소를 도출한다. 디자인 단계에서는 C브랜드에 대한 기본조사로서 로고와 심벌 그리고 브랜드컬러 등 브랜드분석을 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실내공간에 접목할 디자인 아이템을 개발한다. 개발된 디자인 아이템을 각 공간별로 접목하여 실질적인 디자인을 구성한다. (결과)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 로비와 안정적인 심리로 에스테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에스테틱 공간으로 크게 구분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주로 보여주는 로비 공간에서는 브랜드이미지를 표현하는 시각적 아이템을 공간디자인으로 승화하여 입면에서 보여지는 시각이미지를 통해 브랜드의 의도를 전달받을 수 있게 구성하였고 에스테틱 공간은 프라이버시가 확보되고 고객과 직원이 편안한 행동이 가능하도록 타입별 룸구성과 유동적인 파티션을 이용한 기능적인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코스메슈디컬을 판매하며 스킨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스테틱숍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공간디자인을 제안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고객이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과 편안한 공간체험을 유도하는 기능적인 공간디자인 방향의 제안으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코스메슈디컬과 관련된 브랜드인지도 향상을 위한 공간디자인을 계획하는 데 있어 본 연구의 내용이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Changing social trends are reflected in the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and beauty and increasing consumption of cosmetics. With the increase in sources of stress that harm the skin, such as fine dust as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and exposure to electromagnetic waves, interest in the cosmeceutical area is also increasing. “Cosmeceutical” is a new word from the combination of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Given the necessity of providing professional skin counseling and improvement, cosmeceutical services have mainly been conducted in aesthetic shops and dermatology clinics. Therefore, for the space design of aesthetic shops, as a point of contact with customers, an image that conveys reliability and trustworthiness is paramount. Another important purpose is to enable the smooth sales of products by expanding the customer base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brand image and viral marketing.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n aesthetic shop design for C brand, a cosmeceutical brand in Korea. (Method) First, this study perform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meanings of cosmeceuticals and aesthetics, as well as of spatial composition. Second, by combining the space drawn from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at demanded by the aesthetic shop of C brand, we drew the necessary space elements. In the design stage, as basic research of C brand, we analyzed its logo, symbol, and brand colo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design items applied to the interior space were developed. The actual design was composed by applying the developed design items to each space. (Results) We divided the space into a lobby that delivers the image of the cosmeceutical brand and the aesthetic space in which customers receive aesthetic services in the stable psychology. The lobby space was composed to deliver the intention of the brand through the visual image of elevation, by subliming the visual items expressing the brand image into the space design. To secure the privacy and comfort of customers and staff, the aesthetic space was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rooms, with the functional space using flexible partition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ts contribution to improving brand image by suggesting a new area design for an aesthetic shop offering cosmeceutical products and skincare services. The findings suggest the proper direction of functional space design for inducing customers’ trust in the brand and comfort in their experience of the spac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space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brand awareness related to cosmeceutic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