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뷰티서비스 산업에 나타난 유휴공간의 ‘셰어링스페이스’ 효율화 방안 -헤어숍을 중심으로- (Efficiency Strategies of ‘Sharing Space’ in the Idle Space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Focused on Hair Shop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12
16P 미리보기
뷰티서비스 산업에 나타난 유휴공간의 ‘셰어링스페이스’ 효율화 방안 -헤어숍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4권 / 4호 / 365 ~ 380페이지
    · 저자명 : 정선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경제의 패러다임을 반영한 공간공유와 관련하여 뷰티서비스 산업 중 헤어숍에서 나타난 유휴공간의 사례를 분석하고 ‘셰어링스페이스’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뷰티서비스 산업의 효율화 및 협력적 소비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은 선행연구와 관련문헌, 웹사이트를 중심을 공유경제, 공유공간, 유휴공간의 개념이해 및 요소를 고찰⋅추출하였다.
    둘째, 실증적인 연구로는 뷰티서비스 산업 중 1인헤어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운영 중인 헤어숍에서 공간이용에 한계를 보이며 유휴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요구된다고 판단되어 사례 범위는 1인 디자이너 숍 중광주⋅전라 소재의 4곳을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된 사례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공간공유의 7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공간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분석 시, 뷰티전문가 3인, 공간전문가 3인에게 선정된 사례의 다양한 각도의 사진과 구두 설명 후 분석을 의뢰하였으며 이를 수합하여 평균값의 결과를분석하여 유휴공간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플랫폼을 활용한 개방적 접근성을 확보한다. 한국의 혁신적인 IT기술을 활용하여 임대가 아닌시간 단위로 선택적 공간공유를 함으로써 헤어숍에서 의 유휴공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플랫폼의 구축이 요구된다.
    둘째, 영역성 확보를 통한 정체성 및 소속감의 강화이다. 1인 헤어숍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간공유를 통한 소셜 사이클의 확대는 매우 긍정적인 효과라고 보여지며, 정체성 및 소속감의 강화를 위한 보다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휴머니티 실현을 통한 신뢰성의 확보이다. 공유경제의 단초인 협력적 소비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개선을 통해 공간공유를 통한 공동체적 가치 및 새로운 협력적 경제 실현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s for efficiency and collaborative consumption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n social network environment by analyzing idle space and suggesting the efficiency strategies of ‘sharing space’ in hair shops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n relation to space sharing that reflects an economic paradigm which is changing in the world.
    For methodology,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e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First, for theoretical review, the concepts of ‘sharing economy’, ‘sharing space’, and ‘idle space’ were understood and their elements were reviewed and extra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related literature, and websites.
    Second, for empirical research, as one hair designer shops have limitation of using space and it is required to efficiently use idle space in the beauty industry, four hair shops of them located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selected. Then, space characteristics were grasped based on seven elements of space sharing extracted from previous researches in selected cases. The analysis of results was requested after photos taken at various angles of selected cases and oral explanation were given to three beauty specialists and three space specialists.
    Finally, the result of average values was analyzed and the efficient methods to use idle space were draw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pen accessibility should be secured using a social platform. It is required to have selective space sharing on a time basis rather than a rental basis using innovative IT in Korea and build up an organizational and systematic platform to minimize idle space in a hair shop.
    Second, identity and belongingness should be strengthened by securing territory. Since one hair designer shop has been increased, it seems positive to expand a social cycle through space sharing. More act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identify and belongingness.
    Third, trust should be secured by realizing humanity. It is required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which is a start of sharing economy and realize community value and new collaborative economy through space shar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