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브랜드스케이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andscape of Outdoor Lifestyle Shop)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7.02
13P 미리보기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브랜드스케이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2권 / 1호 / 137 ~ 149페이지
    · 저자명 : 오현주,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디지털 시대의 쇼핑 트렌드가 옴니 채널의 영향으로 기존의 오프라인 공간은 다양한 모습으로 공간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아웃도어 매장 공간은 브랜드를 직접적으로 경험 할 수 있는 환경을 제안하고 소비자에게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경향으로 발전되고 있고 일관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브랜드스케이프 공간 구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에서 공간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브랜드스케이프 구축을 위한 표현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스케이프와 라이프스타일 숍에 대해 이론적으로 개념을 정립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브랜드스케이프의 구성 요소와 라이프스타일 숍의 특성을 8가지 키워드로 추출하여 이를 토대로 사례 분석을 위한 매트릭스의 틀로 사용했다. 사례 분석 대상으로는 차별화 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국내외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을 대상으로 사례연구에 적용하여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공간 특성과 표현요소에 대해 연구했다. (결과)위 요소들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각 브랜드마다 추구하는 가치와 공간적 환경, 제품은 다르지만 공간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제안을 전제로 하며 다양한 제품과 프로그램, 전문적인 서비스를 통해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추구한다.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브랜드스케이프 구축을 위한 특성을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매장의 공간적 환경은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명확한 콘셉트를 세우고 그에 맞는 공간 디자인 구성이 요구 된다. 둘째, 다양하고 전문적인 제품 구성으로 아웃도어에 특화된 매장과 체험형 공간, 카페와 편의시설 등 다양한 복합 문화 공간 형태로 구성 되어야 한다. 셋째,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을 방문하는 소비자들에게 공간에서의 색다른 체험과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로 편안한 휴식을 제공하고 가치 공간으로 고객 공감을 얻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결론)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은 디자인만으로 차별화 된 공간이 아닌, 소비자가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으로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내고 소비자에게 감성과 경험을 확장 시켜주는 공간 구성과 프로그램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해아 한다. 본 연구는 브랜드만의 명확한 콘셉트와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기 위한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공간 환경에서 브랜드스케이프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브랜드스케이프를 적용한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공간 환경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향후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 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접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 Objective)The shopping trend in digital era is the expansion of traditional off-line spaces into a variety of aspects owing to omni-channel shopping. Toward this trend, outdoor clothing stores have been developing by allowing their customers to experience the brand directly while proposing a lifestyle, thereby demanding for brandscapes to establish a coherent brand identity and enhance its valu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features of building brandscapes that enhance a brand image through an outdoor lifestyle shop. (Methods)This study establishes a theoretical concept of brandscapes and lifestyle shops, by using eight extracted characteristic keywords from preceding studies of brandscapes components and aspects of lifestyle shop, as a matrix frame for case analysis. Outdoor lifestyle shop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at propose a differentiated lifestyle are selected as the focus of this research; in particular, this study looks in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aterials of an outdoor lifestyle shop. (Results)This study found that each brand seeks differentiation against its rival brands through various products and programs or professional servic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suggests a lifestyle in a space in which different products and spatial circumstances exist. Four features were found to establish brandscapes of an outdoor lifestyle shop. First, a clear and a definite concept as well as an appropriate and a suiting spatial design are required, as the spatial atmosphere of a shop creates a general image of an outdoor lifestyle shop. Second, the shop should form a complex cultural space composed of various and professional outdoor products, in which customers can experience the products personally while relaxing with coffee and using the store’s other amenities. Third, the shop should be able to offer unconventional experiences to customers. Lastly, the place must gain the sympathy of customers as a space for value, by providing a comforting, relaxing, and eco-friendly image. (Conclusions)Outdoor lifestyle shops should be able to propose a lifestyle to customer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pace and programs, espousing customers’ sensitivity and inducing their positive reaction toward the place as a cultural place in which they can enjoy. This stud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capes of outdoor lifestyle shop’s spatial atmosphere in an attempt to constitute clear and distinctive brand concept and identity. By utilizing the unique spatial aspects of outdoor lifestyle shops, and then applied to brandscap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new direction to future approach on prospective design for outdoor lifestyle sho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