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루먼 쇼>와 <프리 가이>의 캐릭터 연구 : 인공적 세계에 속한 캐릭터의 위계구조와 존재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and : Focusing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Ontological Status of Characters in the Artificial World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03
20P 미리보기
&lt;트루먼 쇼&gt;와 &lt;프리 가이&gt;의 캐릭터 연구 : 인공적 세계에 속한 캐릭터의 위계구조와 존재양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68호 / 175 ~ 194페이지
    · 저자명 : 신홍주

    초록

    이 글은 영화 <트루먼 쇼(The Truman Show)>(1998)과 <프리 가이(Free Guy)>의 인공적 가상세계에 나타난 캐릭터의 위계구조와 존재양상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트루먼 쇼>의 텔레비전 리얼리티 쇼인 ‘트루먼 쇼’의 캐릭터들은 배역과 실존이 유일하게 일치하는 트루먼(Truman)과의 관계 및 중요도에 따라 수직적 일극체계를 이룬다. 반면, <프리 가이>의 온라인 디지털 게임인 ‘프리 시티(Free City)’에서 플레이어를 보조하는 NPC(non-player character) 캐릭터들은 게임 속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수평적으로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다. ‘트루먼 쇼’에서 트루먼 중심의 일극체계는 조역 및 단역의 평면성이 폭로되는 과정에서 무너져 내린다. 반편, ‘프리 시티’에서는 게임의 주변부에 머물던 NPC들이 인공 생명체로 진화해가는 가이(Guy)를 중심으로 입체성을 획득해가며 가상 세계의 질서를 전복시킨다.
    한편, 위 두 작품은 인공적 세계에 속한 캐릭터의 존재양상에서도 차이점을 드러낸다. ‘프리 시티’의 디지털 캐릭터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비물질적 속성의 자의적 조합으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개체의 경계 또한 유동적이다. 반면, ‘트루먼 쇼’의 캐릭터들은 배우와 자연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이원화되었을지언정 물리적 현실 공간을 점유하는 개별자로서 고정적 실체성을 견지한다. 예외적으로, 트루먼은 제작진이 인위적으로 설정한 정체성의 속성 및 속성의 조합과 충돌하고 갈등하는 과정에서 주체성을 지닌 진정한 개별자로 재탄생한다.
    이러한 존재양상의 차이는 캐릭터들의 사생활과 시선에도 반영된다. ‘트루먼 쇼’에서 트루먼을 포함하여 모든 캐릭터에게서 사생활이 배제된 것과 달리, ‘프리 시티’의 NPC들은 플레이어에게 침해받지 않고 역할로 환원되지 않는 사생활을 누리며 목적적 존재로서의 자율성과 고유함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들은 디지털 게임의 가상세계에서 시선의 대상으로 자족적 삶을 살아간다는 점에서 물리적 현실 세계와 디지털 가상 세계의 이원성을 부각시킨다.
    이 글은 영화라는 인공적 세계 안에 다른 겹으로 구축된 인공적 세계에서 캐릭터들이 각각 실재 세계와 디지털 세계 내에서 구성하는 위계구조와 존재양상이 인공적 세계를 유지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작용하는 서사적 원리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s and analyz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ontological status of characters in the artificial worlds in <The Truman Show>(1998) and <Free Guy>. The characters of ‘The Truman Show’, a television reality show of <The Truman Show>, form a vertical unipolar system according to their relationship and importance to Truman, the only one whose role and existence coincide. On the other hand, non-player characters(NPCs) who assist players in the online digital game of <Free Guy> are in a relationship of mutual influence horizontally while performing their roles in the game. In ‘The Truman Show’, the Truman-centered unipolar system collapses in the process of revealing the flatness of minor roles. On the other hand, in 'Free City', NPCs who stayed at the periphery of the game subvert the order of the virtual world by acquiring three-dimensi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above two works reveal differences in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artificial worlds. The digital characters of 'Free City' are composed of arbitrary combinations of immaterial attributes in cyberspace, and the boundary of each character is also flexible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s of ‘The Truman Show’ maintain a fixed substantiality as individuals occupying the physical space of reality, even though their identities as actors and natural persons are dualized. Exceptionally, Truman is reborn as a true individual with subjectivity in the process of colliding and conflicting with the attributes and combinations of identities artificially set by the production team.
    These differences in ontological status are also reflected in the private lives and gazes of the characters. Unlike in ‘The Truman Show’ where privacy is excluded from all characters, including Truman, the characters in ‘Free City’ are not entirely infringed upon by players and enjoy a private life that is not reduced to a role, revealing their uniqueness as autonomous individuals. However, the duality of the physical real world and the digital virtual world is highlighted in that they lead content lives as objects of gaze in the virtual world of digital games.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narrative principle of how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ontological status that characters construct in the real world and the digital world respectively act as key strategies to maintain the artificial worlds built inside another artificial world of cinem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