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1세기 새로운 예술미학으로서의 메타모더니즘- 워쇼스키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Die Metamoderne als eine neue Richtung der Kunstästhetik des 21. Jahrhunderts - Am Beispiel des Films “Matrix” der Brüder Wachowski und dessen Fortsetzunge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7.06
32P 미리보기
21세기 새로운 예술미학으로서의 메타모더니즘- 워쇼스키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카프카학회
    · 수록지 정보 : 카프카 연구 / 37호 / 115 ~ 146페이지
    · 저자명 : 최은녕

    초록

    다수의 문화비평가들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철학, 예술, 문학 등의 문화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사상의 흐름을 집약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포스트-포스트모더니즘 Post-Postmoderne’이라는 신조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 명칭은 탈경계적이고 전지구적인 문화 네트워크를 오가는 초문화주의 Transkulturalität 시대 , 다른 말로 한다면, 하이퍼문화 Hyperkulturalität의 시대에는 비합리적이고 불충분하다는 인상을 준다. 20세기의 문화가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연대기적 발전과정을 겪어왔다면, 21세기의 문화는 각 사조들 간의 상호작용과 혼성화 작용을 통해 다양한 잡종 예술사조를 탄생시킨다.메타모더니즘은 모더니즘도, 포스트모더니즘도 아닌 제3의 사이공간 ein dritter Zwischenraum에서 마주친 두 사조들이 서로의 존재를 상호인정하거나 또는 공통적인 중첩의 상태를 이루면서 양자의 공존을 시도하는 미학운동이다. 메타모더니즘은 역사적으로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시대에 배열되지만, 존재론적으로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이에서 진동하는 위치에 있으며, 인식론적으로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 함께 동시에 사유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적 감수성을 의미한다.영화시리즈 매트릭스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 동시대에 공존하면서 역동적 상호관계를 구성하는 메타모더니즘 문화의 흐름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 생각될 수 있다.

    영어초록

    Ende der 1990er Jahre begann man zu spüren, dass ein Nebeneinander der bislang im scharfen Kontrast zueinander stehenden Postmoderne und Moderne als eine neue Kulturtendenz des digitalen Zeitalters entsteht. Während die Postmoderne mit der Zeit brüchiger wurde, lebte die Moderne wieder auf. Die sogenannte Metamoderne ist der Begriff, der für die Beschreibung dieses neuen kulturellen Phänomens von R. v. Akker und T. Vermeulen eingeführt wurde. Diese bezeichnet kunsttheoretisch einen dritten kulturellen Raum, einen Zwischenraum, in dem die Transkulturalität des 21. Jahrhunderts die einzelnen Kulturen nicht unterscheidet und ausgrenzt, sondern sich auf deren Anschluss- und Integrationsmöglichkeiten ausrichtet. Die Metamoderne stellt also eine Kunst-Mischform dar, welche die Grenzen beider Kulturrichtungen aufhebt und diese so entweder ineinander verschmelzen oder parallel koexistieren lässt.
    Der Science-Fiction-Film Matrix und dessen Fortsetzungen, die zwischen 1999 und 2003 von den Brüdern Wachowski gedreht wurden, lassen sich als repräsentative Werke ansehen, die eine dynamische Koexistenz von Postmoderne und Moderne auf dem Bildschirm bringen und somit Beispiele für eine metamoderne Kulturströmung der neuen post-postmodernen Epoche bieten. Sie gewähren Einblick in zwei nebeneinander existierende Welten: Die eine bezieht sich auf den Raum von Matrix als einen Bereich, wo das postmoderne Motto des Todes des Subjekts infolge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zur Geltung kommt. Die andere stellt hingegen den Raum Sion als einen Bereich dar, wo die von den intelligenten Maschinen kontrollierten Menschen wiederum die Rückkehr des selbstbewussten Subjekts erwirken wollen und für die Wiederbelebung der am Menschen orientierten metaphysischen Ideale der alten Zeit kämpfen. Die Filmserie Matrix zeigt zwar heftige Kriege zwischen beiden Welten, jedoch legt sie wesentlich den Fokus auf die zentrale Idee der zeitweiligen Symbiose von Mensch und Maschine, die jedoch jederzeit unerwartet zuende gehen kann. Sie vermeidet während des Gefechtes einen endgültigen Triumph eines Lagers, sondern beschreibt eine Einstellung im Sinne einer unmöglichen Möglichkeit als ein Ringen und ein Oszillieren zwischen der an postmodernen Größen orientierten Welt und einer Welt, die am traditionellen Menschenbild der Moderne orientiert ist.
    Die Aufgabe der vorliegenden Arbeit soll es sein, ein Konzept der Hyper-Psychoanalyse, das über die Grenzen des Menschen und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hinaus anwendbar ist, mit Hilfe der psychoanalytischen Thesen von Freud, Lacan und Žižek zu entwickeln und auf dessen Grundlage die in der Matrix-Serie beobachtbaren metamodernen Phänomene zu untersuch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