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트 프로젝트 공간으로서 현대미술관 연구 -국립현대미술관의 예술협력 패션쇼를 중심으로- (The Contemporary Art Museum as Art Project Space -Focused on the Art Collaboration Fashion Show in MMCA, Kore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12
24P 미리보기
아트 프로젝트 공간으로서 현대미술관 연구 -국립현대미술관의 예술협력 패션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41호 / 29 ~ 52페이지
    · 저자명 : 김세희

    초록

    현대미술관은 예술적 가치를 지닌 다양한 활동을 공론화하는 열린 장(場)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아트 프로젝트 사업을 활성화시켜왔다. 이러한 프로젝트 중에는 여러 문화예술 분야 활동가들에게 협력 또는 협업(collaboration)의 기회를 제공하고, 미술관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하나의 이벤트로서 홍보마케팅 효과와 관람객 유입의 극대화를 이룬 사례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협력(art collaboration)을 주요 개념으로 강조시킨 프로젝트 결과물 중 하나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서울관)의 개관 이후 처음으로 추진된 문화행사 <서울관에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패션쇼>를 조명하였다. 해당 사례는 우리나라 유일의 현대미술관이 서울 중심에 새로운 분관을 설립하며 ‘갤러리 아트존’이라는 브랜드(뮤지엄 숍이자 프로젝트 기획전시 공간)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차세대 아티스트를 지원․발굴해나갈 프로젝트 사업을 개시하는 의미를 지녔다. 사례연구 방법으로는 행사 참여자 모집을 위한 공모 기획과 심사 및 선정 과정, 예술협력으로 만들어진 행사의 세부 내용과 그 이후의 홍보효과 전반을 실무참여 경험과 남겨진 기록물들을 토대로 정리하였다. 그 후 분석을 통해 해당 사례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던 예술협력 기획 및 추진과정의 요소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1)공모기획에서 어떠한 기준이나 요건보다도 미술관을 자유로운 표현공간의 도구로 사용하는 열린 방향성만을 제시하였고, 따라서 협력 참여의 의지를 지닌 동시대 문화예술 분야 활동가들이 창의적인 기획안을 다채롭게 제안할 수 있었다. 2)미술관이 주체적으로 기업의 후원금을 운영할 권한을 지님으로써 효율적으로 행사 기획 및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고 관리할 수 있었다. 3)프로젝트 수행에 있어서 주최자 또는 후원자의 지나친 개입 없이 공모를 통해 선정된 참여자들의 의사결정권이 온전히 보장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술협력 개념을 정리함으로써 현대미술관이 아트 프로젝트 수행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해당 사례가 추진될 수 있었던 특수한 맥락과 배경을 명문화하고 일회성으로 끝나기 쉬운 프로젝트 형식의 문화행사 그 뒤에서 이루어지는 현장의 모습을 기록함으로써 미술관이 제공하는 주요 콘텐츠로서 문화행사를 조명하는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contemporary art museum is a kind of museum that most often functions as a space for diverse art projects. This is because the museum dedicated to contemporary art, which specifically includes artworks of the currently living artists and creators, has the obligation to serve the public with activities that reflect the diverse artistic/creative values in the concurrent art world and cultural industry. For this study, the art collaboration project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Korea) is chosen as an exemplary case that had taken place in Korea, and making of the cultural event titled <Art Collaboration Fashion Show in MMCA, Seoul> is analyzed in detail. The case analysis laid out the early planning stage of the project to the end result and the general public’s response to the event as a whole by explaining the context of how and why, through what process such art project was perused with the remaining documents, on/offline records, photos and personal memories of serving as a leading director of the project. In conclusion, the case analysis derived three key factors that had made the event successful. First, the open call/contest, which took place to openly recruit project participants, was organized in a way that diverse options for creative art collaboration were proposed to the event organizers. Second, the museum as a host had the full authority in managing the sponsored project, which had increased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of open call, the actual event and publicity activities while properly distribut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partakers. Third, the autonomy was fully guaranteed to the three finalist of the open call of the fashion show. This had made the project leaders of museum to focus on the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event and publicity activities, while the art collaborators could focus entirely on executing the show. This study dedicates to build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emporary art museum as a space for art project and illuminate the value of fluidity yet systemic quality of art collabo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박물관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