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원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의 예술성에 관한 연구 : 2010년 첼시 플라워 쇼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rtistry of Objects Presented in Gardens : Focused on the Chelsea Flower Show 2010)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1.04
12P 미리보기
정원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의 예술성에 관한 연구 : 2010년 첼시 플라워 쇼를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2권 / 2호 / 213 ~ 224페이지
    · 저자명 : 박은영

    초록

    정원에서의 오브제는 하나의 예술작품으로서 작가의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공간의 분위기를 나타낸다. 오브제가 정원과 관계를 맺으며 미적요소를 통해 그 예술성을 발휘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 첼시 플라워 쇼의 작품 중 오브제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작품을 중심으로 오브제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 본 후, 조형요소인 형태, 색상, 질감, 재료의 기본 틀을 바탕으로 각각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의 예술성을 해석하였다. 형태에 있어서는 미니멀리즘을 반영한 최소형태와 추상적 형태, 은유와 상징을 통한 문화적 맥락의 표현이 나타났다. 재료와 재질에 있어서는 새로운 미(美)의 제시로 재료의 물성을 강조하고 정원과 예술의 장르간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소재의 사용이 나타났다. 색상에 있어서는 시각적 예술성을 강화하기 위해 강한 원색의 대비효과 및 밝은 색상을 활용하였다. 또한 정원에서의 오브제는 자체의 예술성 표현 뿐 만 아니라 정원과의 관계에 있어 식물소재의 자연성을 최대한 부각시키는 특징을 보였다. 단순한 형태, 자연적 재료 및 매끄러운 재질, 어둡고 짙은 계열의 색상 또는 파스텔 톤의 옅은 색상의 오브제를 활용하여 식물과의 조화를 꾀하고, 식물의 야생적인 질감 및 형태를 강조 할 뿐만 아니라 색상 대비를 통하여 식재효과를 부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오브제가 단지 미술의 영역을 넘어 사회, 문화적인 차원으로 확장되고 있는 현시점에 정원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의 예술성을 정원과의 관계 속에 해석하고, 상호 문화적인 통찰을 통해 본 것이 본 논문의 의의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Objects in gardens are a work of art that delivers the artist's message or presents the atmosphere of the space. These are related to the garden and show their artistry through aesthetic ele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unctions and roles of objects, focusing on pieces of works at the Chelsea Flower Show 2010 that well-revealed the features of objects, and interpreted the artistry of objects of each work, based on a basic framework of formative elements: shape, color, texture and material. With regard to shape, the objects displayed minimized and abstract shape that reflects minimalism and expressed cultural context through metaphors and symbols. With regard to material and texture, they emphasized the property of materials by presenting new beauty and used new materials through the inter-genre convergence between gardens and art. Regarding color, light colors and contrast effects between garish colors are used to enhance visual artistry. Objects in gardens not only expressed their artistry but featured the maximization of naturalness of botanical materials for the relation to gardens. Dark and thick-colored, or light and pastel-toned objects in simple shape and natural and smooth materials are harmonized with plants, emphasize the wild texture and shape of plants, and enhance the effect of planting through contrast. Today, objects has passed the boundary of art and is advancing into a social and cultural aspect. The significant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artistry of objects in connection with the relation between objects and gardens and to investigate them through a cross-cultural ins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