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쇼듕화역ᄃᆡ셜>의 전쟁 서술 방식과 문학적 의미-임진왜란을 중심으로- (The Description Method of War and its Literary Meaning in Sojungwhayeokdaeseol focusing on Imjinyaora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08
46P 미리보기
&lt;쇼듕화역ᄃᆡ셜&gt;의 전쟁 서술 방식과 문학적 의미-임진왜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50호 / 173 ~ 218페이지
    · 저자명 : 윤보윤

    초록

    <쇼듕화역ᄃᆡ셜>은 조선 역대 임금의 행적을 바탕으로 명신과 저명인물의 내력을 기술한 역사서사이다. 이 작품의 권지삼에 임진왜란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1589년에 임진왜란을 처음 언급한 이후 1592년 전쟁의 발발과 당시 조선의 상황을 상세히 기술하고 1599년 명의 원조 규모를 정리한 것으로 임진왜란 관련 서술을 마무리한다. 역사서사로서 사실을 전달하는 것에 충실한 면모를 보이지만 곳곳에 문학적 요소를 가미하여 작자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임진왜란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전쟁이 필연적으로 발발할 수밖에 없었던 조건과 상황을 나열하여 전쟁서사의 도입부를 구성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이전의 사건을 선택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조선의 위태로운 분위기를 고조하고 임진왜란 이야기를 독립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었다. 둘째, 임진왜란의 경과를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여 소개하면서도 조헌과 이순신의 일화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전쟁의 중심인물로 부각하였다.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임진왜란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문학적 감동까지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역사서사를 표방하되 선조에 대한 묘사는 매우 긍정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그가 겪은 시련을 강조하고 실정에 대한 책임은 다른 인물에게 전가하거나 해당 서술을 제외하기도 하였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조선의 역사를 기술하는 한 과정으로 임진왜란을 다루면서 사실을 단순하게 나열하지 않고 전쟁과 관련한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독자를 배려하였다. 객관적 사실을 기술하는 것이 역사서사의 당연한 특성일 것이나 여기에 작자의식을 반영하여 문학적 요소를 포함시켰다. 그러면서 사소한 부분에서 사실과 다른 부분이 생기기도 하고 특정 인물의 일대기를 확장하여 소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예적 서술 방식은 독자의 흥미를 자극한 것은 물론 허구가 아닌 역사를 즐길 수 있다는 만족감도 부여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Sojungwhayeokdaeseol is a historical narrative focusing on the achievements of the king in the Joseon Dynasty while covering the description of capable statesmen and famous figures. It deals with s a story about Imjinyaoran,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Joseon Dynasty in 1592, which covers a considerable part in this work. We can find the author’s consciousness added by literary elements in many areas in spite of a characteristic of delivering the facts of the war faithfully.
    First, it begins with the introduction of an independent story in which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outbreak of the Japanese invasion are listed. It contained the ominous sign from heaven or extraordinary figure’s prediction warning the coming war. He also introduced the circumstances of being unable to prepare for the war in the Royal court due to the strife between political parties and the ambition of Pungsinsugil.
    Second, the anecdotes of JoHeon and Yi Sun-sin were embodied and highlighted as central figures while listing the progress of the Japanese Invasion over time. It was emphasized the fact that Jo Heon continuously filed an appeal to urge preparation of war and that he was killed heroically by raising up forces in the cause of justice. Yi Sun-sin was depicted as a figure respected by the people by constructing turtle ships in advance to prepare for the Japanese invasion and by winning a series of battles.
    Third, he tried to portray the King Seonjo positively while advocating the historical narrative with the list of objective facts. To this end, he emphasized the king’s ordeal, shifted his responsibility to other people, and excluded descriptions of his failed administrational situation.
    The author of Sojungwhayeokdaeseol reconstructed the whole story for the reader to easily understand instead of simply arranging the fact when dealing with the Japanese invasion. In addition, the author included literary elements by reflecting his consciousness on the description of the fact. In the meantime, there reveale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act that the story became different from the truth in trivial parts or the biography of a distinguished person was described with extension. This literary style brought about popularity for this historical narrative not only by stimulating readers' interest but also satisfying the pleasure of enjoying real history, not fi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