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쇼듕화역ᄃᆡ셜>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의미 - 인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ation Adaption and Meaning of Sojunghwayeokdaeseol - Focused on Character of King Inj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2.09
38P 미리보기
&lt;쇼듕화역ᄃᆡ셜&gt;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의미 - 인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113권 / 297 ~ 334페이지
    · 저자명 : 윤보윤

    초록

    이 글은 <쇼듕화역ᄃᆡ셜>에 나타난 인조의 형상화 방식과 그 문학적 의미에 대해 살핀 것이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작자 미상의 역사서사로, 조선의 군왕과 주요 대신의 일대기를 서술하고 있다. 독자들이 역사적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 있었던 일을 나열하기도 하고 작자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사건에 대해서는 문예적인 묘사까지 더하기도 한다.
    <쇼듕화역ᄃᆡ셜> 권지사는 대부분 인조의 일대기로 구성되었는데, 우선 능양군이 왕위에 오르기까지 인조반정의 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이괄의 난 부분에서는 역모가 일어난 이유와 사건의 전개, 관군이 전투에서 승리한 장면까지 소개하였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부분에서는 조선이 처한 어려움을 사실적으로 그리되 그 대상이 인조를 비롯한 왕실과 주변 대신 정도로 한정되었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역사서사로서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일차적 목표였을 것이나 몇몇 상황에서는 인조를 특별하게 형상화하였다. 첫째, 인조와 대신들의 관계를 부각하고 있다. 인조반정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능양군과 김류의 기이한 인연을 서사하면서 이항복과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또한 인조가 등용한 인물 중 혁혁한 공을 세운 신하들이 이항복과 연관이 있음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척화신과의 관계를 통해 임금의 자애로운 모습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둘째, 인조가 여러 차례 반란과 전쟁을 겪으며 시련을 감내하였음을 극대화하여 표현하였다. 조선이 전란에 휩싸인 것은 인조를 위시한 집권층의 무능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러한 사건의 원인을 어쩔 수 없는 운명 탓으로 돌리고 인조가 감당해야 하는 고난에만 집중하였다. 그리하여 이괄의 난이나 병자호란에서 몽진하였을 때의 궁색한 기억과 삼전도에서의 치욕을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인조가 전란의 가장 큰 피해자인 것처럼 형상화하였다. 셋째, 인조와 광해군의 선명한 대비를 통해 인조를 칭송하고자 하였다. 능양군의 탄생을 신이하게 연출하기도 하고 일찍이 선조에게 인정받은 존재임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뛰어난 신하들이 인조와 대의를 함께 하는 모습을 통해 그의 인품이 고귀함을 알렸다. 이러한 자질을 가지지 못해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고 서슴없이 패륜을 저지른 광해군은 마땅히 폐위의 대상이 되고, 인조는 반정의 명분을 증명할 수 있었다.
    <쇼듕화역ᄃᆡ셜>의 독자는 문면을 통해 인조의 인간적인 면모를 발견하고 그를 동정의 대상으로 생각하며 반정을 비롯한 통치행위를 정당하게 여길 수 있었다. 군왕으로서 인조의 무능은 감추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형상화했기 때문이다. 인조에 대한 우호적 이미지는 조선 왕조의 역사 전체에 대한 믿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곧 작자가 역사를 기술하면서 독자가 보다 희망적인 시선으로 조선의 역사를 접하도록 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ojunghwayeokdaeseol is a historical narrative whose author is unknown, elaborating on stories of kings and ministers entrusted. The life story of King Injo was mainly narrated in volume 4 to inform the whole story of the incidents of King Injo’s Restoration, Rebellion of Yi Gwal, First Manchu Invasion in 1627, and the Byeongja-year War with the Manchurians to reveal the activities of significant figures. Meanwhile, the author intended to express King Injo uniquely in specific scenes.
    Firstly, King Injo was embodied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ministers. The author tried to convey King Injo’s Restoration more excitingly by elaborating the mysterious connection with Kim Ryu, a literati of Lee Hangbok. He also emphasized King Injo’s insight through the activities of figures like Jeong Chungshin, Hong Myunggu, and Lee Hangbok. The stories with Yoon Jip, Oh Dalje, and Lim Kyungeop also show the benevolent and gracious aspects of the king.
    Secondly, the painful trials during the rebellion and war which King Injo went through were significantly expressed. King Injo’s agony during the rebellion of Yi Gwal was described in very detail. During the First Manchu Invasion in 1627, he was forced to forge a treaty as a brotherhood nation with Houjin. In addition, the humiliation of surrender at Samjeondo during the Byeongja-year War with the Manchurians was elaborated with how Qing Empire persecuted King Injo.
    Thirdly, the personality of Injo was an austere counterpoint to that of Gwanghaegun. The author emphasized that King Injo was recognized by his ancestors, and his character was good enough for ministers to pledge their fidelity. On the other hand, he described in detail how disqualified Gwanghaegun was as a King because he committed treason without caring for the people’s livelihood. It implies that King Injo was qualified to be a successor, but Gwanghaegun was the target of eradication.
    Sojunghwayeokdaeseol represents a historical narrative that records actual events. However, it is a literature work expressing the author’s consciousness to convey the tragic history, including the Byeongja-year War with the Manchurians, in a more positive direction. It could be a way to narrate the entire history of Joseon from a positive perspective, not to record everything precisely the same as the facts but to emphasize some events of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