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열쇳말』의 내적 구성원리와 신뢰성 (On Keywords ― Its Inner Constitutive Principles and Reliability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6
32P 미리보기
『열쇳말』의 내적 구성원리와 신뢰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27호 / 459 ~ 490페이지
    · 저자명 : 송승철

    초록

    레이먼드 윌리엄즈(Raymond Williams)의 『열쇳말』(Keywords)은 특정 분과학문에속하는 전문용어가 아니라, 영국이 이차대전 후 복지국가를 지향하던 상황에서 당대의 핵심적 삶에 대한 사유와 경험을 기술할 때 필요한 “일반적 용어” 110 개를 선정하고, 각각의 용어에 담긴 의미의 다양성, 역사적 형성과정, 그리고 상호 관계를 추적한 저작이다. 그런데, 문화연구와 개념사, 그리고 지성사 분야에서 이 저작이 가진위상과 신뢰성에 대한 평가가 너무 달라서 함께 붙여놓으면 마치 학계의 분열적 증상의 발현처럼 보인다.
    필자의 판단하건데, 학계의 이와 같은 불일치의 가장 큰 이유는 윌리엄즈가 『열쇳말』 에서 활용한 방법론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연관이 있다. 윌리엄즈 스스로 자신의 방법론을 ‘역사적 의미론’으로 명명했지만 방법론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힌 바가 없다. 그러나 『열쇳말』을 처음부터 끝까지 찬찬히 읽어보면 비록 모든 항목에 다 적용되는 것은아니지만, 일정한 패턴에 따라 기술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윌리엄스가자신이 선택한 어휘가 지칭하는 의미들의 역사적 변화와 상호연관성을 추적하기 위해사용한 방법과 이념을 ‘내적 원리’라는 이름 아래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다.
    윌리엄즈의 ‘역사적 의미론’은 (1) 개념이나 담론 대신 단어를 중심으로 의미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추구하는데, (2) 이때 대상을 “잠정적으로” 괄호치고, 단어의 내적 연관성에 주목하는 게 도움이 되고, (3) 의미변화의 추적 때 문학비평적 방법론의 활용과 단어의 물적 형태변화의 고찰이 중요하며 (4) 이런 변화과정은 의미의 일반화, 전문화, 추상화로 요약된다는 것이다.
    윌리엄즈의 이러한 방법론은 언어의 살아있는 활력의 환기를 통해 언어의 전문화, 일반화, 추상화를 통해 작동하는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려는 그 자신의 비평의식의 산물이었다. 그런데, 이런 식의 서술방식은 독자—특히, 언어와 역사의 비환원적 결합방식에 대한 요약적 지식을 원하는 개념사 전공자—의 입장에서 볼 때 여러 약점을노정한다. “잠정적”이지만 현실에 괄호 치고 단어 자체를 살피는 방법론에 유보 없이동의하기 어려울 것이고, 단어의 활력으로 이데올로기의 지배에 맞서려는 저자의 의도의 실효성에 동의하기도 쉽지 않을 터이다. 또한, 개념을 거부하고 전반적 사회조직과 지배적 관념이 서로 “녹아든”(in solution) “살아진 삶 전체”(a whole lived experience)에 대한 강조로 말미암아 명시적인 체계적 방법론의 개발을 회피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저자의 방법론에 대한 일정한 사전 지식이 없을 때 논지의 맥락을잡기가 쉽지 않다. 반면에, 윌리엄즈의 방법론은 장점도 적지 않다. 개념화되기 이전의 살아있는 언어적 활력을 중시하는 윌리엄즈 특유의 서술방식은 새로운 개념을 향한 사유를 촉발하고, 한 단어가 지칭하는 여러 개념들 간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하거나, 추상화된 근대적 개념에 담긴 의미의 미묘한 차이를 드러내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진보”를 대상으로 한 윌리엄즈의 용례와 코젤렉의 용례를 비교함으로써 두 사람의 유사성과 차이를 덧붙인다.

    영어초록

    Raymond Williams's Keywords, first published in 1976 and revised in 1983, is concerned with the complex processes of linguistic change and with the interrelations of about 110 ‘general’ terms which he judged necessary to describe the thoughts and experiences relevant to the British cultural and social issues of his era. Academic responses to this book vary enormously, however, depending upon the field of specialization, with scholars from cultural studies or conceptual history or intellectual history expressing widely discrepant evaluations in a kind of academic schi zophrenia attack.
    In my view this discrepancy arises primarily from a pervasive misun derstanding of the peculiar methodology which William used in Keywords.
    He termed his approach “historical semantics”, but unfortunately did not describe its methods in any detail. If, however, we read Williams's descriptionof his chosen words, carefully, starting at the beginning and continuing through to the end, it is evident that most (but not all) of the items are processed according to a certain pattern.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determine Williams's particular analytical approaches and also the underlying intentions — that is, the inner constitutive principles he used to track the historical changes and the interrelations of meanings for his selected vocabulary.
    These principles can be enumerated as follows: (1) In his ‘historical semantics' Williams pursues the historical changes of meaning by focusing on ‘words’ rather than concepts or discourses. (2) He finds it helpful to focus on interconnections among the meanings within a word, putting its relations to social institutions and specific historical situations, “tem porarily” to one side. (3) When tracing changes in meaning, Williams applies literary-critical methods, as well as delving into changes in the material form of the words themselves. (4) These changes can be summarized as the historical processes of generalization, specialization, and abstraction of meaning.
    The peculiar approach which Williams adopted in Keywords was a product of his critical consciousness, by means of which he was trying to counter the contemporary bourgeois ideologies. These ideologies operated through lengthy historical processes of specialization, generalization, and abstraction of language, in an attempt to foreclose the living vitality of language. Thus Williams adopted a narrative method which many readers find unsatisfactory, who are seeking instead a knowledge summary in the form of a non-reductive combination of language and history. Readers may also find it difficult to wholly agree with his examination of the selected words, which cuts them off, if only temporarily, from reality. And not everybody will accept as effective the author’s intention to confront the ruling ideologies with the vitality of everyday words. In fact, Williams's avoidance of an explicitly systematic methodology is related to his emphasis upon “a whole lived experience” in which general social processes and the dominant ideologies are “in solution.” Thus, without some prior knowledge of the author's methodology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his explications.
    On the other hand, Williams's method has provided and, even now, still provides many different illuminating insights. Williams's peculiar des criptive narrative, which emphasizes the vitality of living words over con ceptualization, prompts us toward new opportunities for conceptualization. His approach also elucidates conceptual differences whenever the same word is used for some conflicting concepts. And finally, it reveals the subtle contradictory differences in meanings which are often contained, and are therefore hard to discern, within most abstract modern concep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념과 소통”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