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상도』(1936)와 『황무지』(1922) 비교 : 쇠바퀴(Wheel)의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Wheel of History: Concept of Circulating Civilization in The Waste Land (1922) and The Weather Map (1936))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2.12
32P 미리보기
『기상도』(1936)와 『황무지』(1922) 비교 : 쇠바퀴(Wheel)의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38호 / 147 ~ 178페이지
    · 저자명 : 김한성

    초록

    영향관계(Influence)는 인유(Allusion), 빌리기(Borrowing), 메아리(Echoing), 번안(Adaptation)을 모두 함축시키는 폭넓은 함의를 지닌 용어이기 때문에 이를 세밀화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 글에서는 원천이 되는 작품의 우월성을 강조하는기존의 용어 사용을 배제한 채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독립적인 지위에 놓고 비교해보려고 한다.
    김기림의 장시『기상도』(1936)를 이해하기 위하여 엘리엇의 장시 『황무지』(1922)를 고려해야 하는 이유로 몇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장시의 구성을 교향악에 비유하고 있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둘째, 김기림이 1936년 4월 동북제국대학에 입학하여 리차즈(I. A. Richards) 시학을 연구하기 이전, 시론에서 가장많이 언급하고 있는 시인이 엘리엇이다. 셋째, 『기상도』가 『황무지』의 영향을받았다는 기존 연구 역시 『황무지』에 대한 고찰을 필요로 하게 만든다. 하지만이런 연관성에도 과연 『기상도』와 『황무지』를 과감히 일대일로 비교할 수 있는지 의문이 남는다. 식민지와 제국, 동양과 서양 등 비교 불가능한 몇몇 지점이있지만, 『기상도』는 인간문명에 대한 비판을 주제로 한 장시라는 점에서 『황무지』와 비교 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기상도』와 『황무지』에 드러난 문명에 대한관점이 두 텍스트 사이에서 어떻게 교섭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기상도』에서 드러나는 문명 비판과 역사 감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of The Waste Land (1922) and T. S. Eliot’s literary criticism helps to figure out the works of Korean modernist Kim Kirim in 1930’s. Kim confessed that his long poem, The Weather Map (1936), is inspired by The Waste Land. Both works share the poetic style that deconstructs the nature of the poem by jumping from one manners and styles to another.
    It is arguable that The Weather Map acquires an equivalence to compare with The Waste Land. Although both works were composed during the period of high modernism that came after the end of World War I, the geographic spaces where each lyric speaker positions himself and portrays is distant from each other; whereas The Waste Land’s background is London during and after World War I, The Weather Map is set in the semi-colonized Shanghai and the colonized Seoul in the 1930s. Both works need to be compared with the “incommensurability” of their spatial differences in mind.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symbol of the Tarot card, “The Wheel” among the intellectual accounts of various symbols that appear in The Waste Land. Eliot’s use of the symbol of “the wheel” presents the subject of the rise and fall of civilizations throughout history. Kim intertextualizes this “wheel” in the seventh chapter of The Weather Map, titled “The Song of Wheel,” and uses shifts in the weather as a metaphor for the “circulating civilization.” This paper will examine how the poetic motif of “The Wheel” in The Waste Land has been transmitted and transferred to The Weather Ma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