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해도굿 쇠열이타령의 의미 (The Meaning of Hwanghae-do Gut Soeyeori Tarye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6
24P 미리보기
황해도굿 쇠열이타령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62호 / 103 ~ 126페이지
    · 저자명 : 홍태한

    초록

    이 글은 황해도굿 쇠열이타령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황해도굿에는 <산거리>, <초감흥거리>, <칠성거리>에만 쇠열이타령이 있다. 쇠열이타령을 연행하고 이어서 쇠를 여는 연행을 한다. 이러한 연행 의미를 살핀 것이 이 글이다. 쇠열이타령은 쇠열기 행위와 긴밀하게 연결된다. 쇠열이타령 - 사방쇠 열기 - 하늘쇠 또는 땅쇠 열기가 연속성을 가진다. 쇠열이타령으로 언술을 한 후 사방쇠와 땅쇠, 하늘쇠를 여는 행위로 이를 구체화한다. 쇠열이타령에서 언술로 쇠을 열어 신령을 모신다면 쇠열이에서는 행위로 신령을 모시는 것이다. 다음으로 황해도굿의 연행원리인 소굿과 육굿의 원리를 바탕으로 <산거리>, <초감흥거리>, <칠성거리>가 황해도굿의 핵심거리임을 제시했다. <산거리>와 <칠성거리>를 통해 삶의 기반에 대한 인식을, <초감흥거리>를 통해 굿에 들어오는 모든 신령을 받아들이는 의미를 드러내면서 이들 굿거리의 중요성을 쇠열이타령을 드러낸다고 보았다. 황해도굿의 무신도에 만신을 그린 ‘성수 무신도’에 쇠를 여는 장면이 그려져 있음에 주목하여 쇠가 가진 강조의 의미가 쇠열이타령을 통해서도 드러난다고 보았다. 현재 쇠열이타령에 대한 인식은 결례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쇠열이타령을 축소하기도 하는 등 쇠열이타령에 대한 인식이 약화되기도 한다. <산거리>에서의 쇠열이타령 연행 여부가 결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것처럼 쇠열이타령을 바라보는 인식이 다소 복합적이다. 쇠열이타령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는 최근 일어나고 있는 굿 환경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금기의 쇠퇴, 굿 연행 시간의 축소, 굿 연행의 간소화 등이 최근 황해도굿판의 대종을 이룬다. 이러한 변화상을 바탕으로 황해도굿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Hwanghae-do Gut Soeyeori Taryeong (a kind of Hwanghae-do Gut song). In Hwanghae-do Gut, Soeyeori Taryeong is present only in Sangeori, Chogamheunggeori, and Chilseonggeori, after which a performance to open the Soe (a sacred tool) is conducted.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is performance. Soeyeori Taryeong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ct of Soeyeolgi. Soeyeori Taryeong - opening of the Sabangsoe - opening of the Haneulsoe or Ttangsoe are done sequentially. Soeyeori Taryeong is performed as an enunciation followed by the act of openinghe Sabangsoe, Ttangsoe, and Haneulsoe which concretizesit. In Soeyeori Taryeong, an enunciation opens the Soe to invite the spirit while in Soeyeori, the act is to invite the spirit. Subsequently, based on the principle of Sogut and Yukgut and the principle of performing Hwanghae- do Gut, the author suggests that Sangeori, Chogamheunggeori, and Chilseonggeori should be the main Geori of Hwanghae-do Gut. Sangeori and Chilseonggeori reveal the recognition of the grounds of life while Chogamheunggeori shows the meaning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all spirits coming into the Gut. Therefore, Soeyeori Taryeong seemstoreflectthe importance of those Gutgeori.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in the Musindo of Hwanghae-do Gut, “Seongsu Musindo” indicates that mediums have a part in opening the Soe. However,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meaning best owed on the Soe is also revealed through Soeyeori Taryeong. Nowadays, recognition of Soeyeori Taryeong changes according to Gyeolrye (a term related to Hwanghae-do Gut that refers to genealogy). Soeyeori Taryeong is either reduced or recognition on Soeyeori Taryeong is diminished. Understanding Soeyeori Taryeong is rather complex as whether to perform Soeyeori Taryeong in Sangeori is the basis of the criteria to identify Gyeolrye.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Soeyeori Taryeong is also associated with that of the Gut environment that has recently appeared. The decline of taboos, the shortening of time to perform the Gut, or the simplific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Gut comprise the majority of the recent changes to Hwanghae-do Gut. Due to these changes, we may have to examine Hwanghae-do Gut more clos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