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비에 대한 ‘양반-노주’의 감정 스펙트럼과 네트워크 신체성 -『쇄미록』의 감정 수사와 ‘질병/사망’ 기록을 중심으로 (The Emotional Spectrum of the ‘Yangban-owner’ about the Servants and the Network Physicality - Focusing on the Emotional Investigation and ‘Disease/Death’ Records of Shaemirok)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5.02
42P 미리보기
노비에 대한 ‘양반-노주’의 감정 스펙트럼과 네트워크 신체성 -『쇄미록』의 감정 수사와 ‘질병/사망’ 기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68호 / 281 ~ 322페이지
    · 저자명 : 최기숙

    초록

    이 논문은 오희문의 일기 『쇄미록』에 서술된 노비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노비에 대한 양반 노주의 감정과 태도를 감정 스펙트럼이라는 개념으로 분석하고, 노비의 질병과 사망을 대하는 양반의 태도와 감정 재현을 양반가의 경우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선시대 노-주가 일상적, 경험적, 감성적 차원에서 연결성을 형성했으며, 네트워크 신체성을 구성하고 있었음을 문헌해석학적 방법론을 통해 해명했다. 조선시대 노비는 노주인 양반의 일상을 돕는 보조적이고 사물화된 도구라기보다는 양반(가)의 물리적 일상과 정보, 윤리, 예의, 정서를 유지하고 연결하는 아카이브된 ‘장치로서의 역할을 했다. 노비에 대한 양반 노주의 감정은 일정 부분 가족이나 지친 등에 대한 감정 반응과 중첩되어 인간 보편의 동질성에 기반한 공감의 등위 감정으로 표출된 경우도 많지만, 신분적, 도덕적 요인에 따라 미움과 분노 등 위계 감정으로 표출되기도 했다. 감정 주체인 노주는 노비의 계약 위반이나 의무 또는 약속의 불이행, 업무 지체, 사취, 도주, 거짓말, 무례, 불손, 비위생 등에 대해 도덕적, 윤리적인 판단을 발휘해 감정 표현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 양반은 노비와 일상과 생애 시간을 공유했기에, 노비에 대한 감정이 복합적으로 적층되었고, 이질적인 감정이나 양가감정이 교차했다. 오랜 세월을 함께 보낸 노비에 대해서는 감정이 복합적으로 축적되었는데, 노주로서의 돌봄 의식과 책임감으로 이를 통합하는 지향성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주 양반이 노비에 대해 인지, 경험, 재현한 감정 기록을 중심으로 노-주 간에 작동한 네트워크 신체성의 실상을 해명함으로써, 양반 남성이라는 동성․등위 집단에 대한 정치적․사상적․학문적 이해만으로는 접근할 수 없었던 현실적이고 감성적 차원의 노-주 관계를 해석하여,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에 대한 편폭을 심화․확장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emotions and attitudes of yangban (elite literati) toward nobi (servants) based on the records related to nobi described in Oh Himun’s diary, Shaemirok, using the concept of emotional spectrum,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yangban’s attitudes and emotional representations toward nobi’s illness and death with those of yangban families. In doing so, it clarifies, through a textual interpretation methodology, that the nobi’s owners in the Chosǒn Dynasty formed connections in everyday, experiential, and emotional dimensions and constituted network-physicality. In the Chosǒn era, nobi were not merely auxiliary and objectified tools that helped the daily lives of their masters, the yangban, but rather served as an archived ‘device’ that maintained and connected the physical daily lives, information, ethics, manners, and emotions of the yangban (family). The feelings of the yangban as master toward nobi overlapped to some extent with the emotional reactions toward family or relatives, and were often expressed as empathetic feelings based on universal human homogeneity, but they were also expressed as feelings of hierarchy depending on social status and moral factors. The subject of emotions, yangban as owner of nobi, showed a tendency to secure the legitimacy of emotional expression by exercising moral and ethical judgment regarding the nobi’s breach of contract,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or promises, delay in work, fraud, running away, lying, rudeness, impoliteness, and unsanitary behavior. Because the yangban shared their daily lives and life times with nobi, their feelings toward nobi were complex and mixed, with heterogeneous or ambivalent feelings intersecting. The nobles had complex feelings for the nobi they had spent a long time with, and they tended to integrate these feelings with their sense of care and responsibility as nobi owners. This study aims to deepen and expand the scope of Chosǒn history and culture by understanding the realistic and emotional dim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bi and yangban as their owner that could not be approached solely through political, ideological, and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same status and gender as male yangban, by elucidating the reality of the network physicality that operated between nobi and yangban-owner, focusing on the emotional records that the masters recognized, experienced, and reproduced regarding nob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