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 재생불량빈혈에서 T 세포 수용체 β쇄 가변부위 분석을 이용한 T 세포 클론의 탐색 (Detection of Putative T cell Clones Using T cell Receptor βChain Gene Clonality Assay in Korean Patients with Aplastic Anemia)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9.08
8P 미리보기
한국인 재생불량빈혈에서 T 세포 수용체 β쇄 가변부위 분석을 이용한 T 세포 클론의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 수록지 정보 :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 29권 / 4호 / 269 ~ 276페이지
    · 저자명 : 최현정, 신명근, 김혜란, 국훈, 기승정, 신종희, 서순팔, 양동욱, 김형준, 김수현

    초록

    배경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재생불량빈혈 환자의 골수 검체
    에서 T 세포 수용체 β쇄(T cell receptor βchain, TCRB) 가변
    부위 분석을 시행하여 T 세포 클론을 검출하고, 이의 검사의학
    적 의의를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재생불량빈혈로 확진된 환자 20명의 골수 검
    체 29예(초진 검체 19예, 추적 검체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TCRB 가변부위 분석은 IdentiCloneTM TCRB Gene Clonality
    Assay kit (InVivoScirbe Technology, USA)와 자동염기서열
    분석기를 이용하였다. 이와 함께 대상 환자의 임상검사적 특성
    을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에서 재생불량빈혈과 관련된 기저요인을 알
    수 있었던 경우는 총 5예로 B형 간염바이러스 보균 및 벤젠 노
    출력이 각각 4예 및 1예이었다. TCRB 가변부위 분석 결과 진단
    당시 T 세포 클론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는 11예(58%)이었고,
    추적 검사에서 5예가 추가로 발견되었다. T 세포 클론의 위치
    (TCRB diversity region, Dβ; joining region, Jβ; variable
    region, Vβ)는 Dβ2+Jβ2가 6예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Dβ1
    +Jβ1이 3예, Dβ1+Jβ2와 Vβ+Jβ1가 각각 2예 순이었다. 골수 및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환자 7명 중에서 초진 시 T 세포 클론이
    관찰되었던 1명에서는 임상경과 호전에 따라 소실되었고, 5명에
    서는 초진 시 T 세포 클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추적 검사에서
    검출되었다.
    결론 : TCRB 가변부위 분석을 이용하여 재생불량빈혈 환자의
    대부분에서 T 세포 클론을 검출할 수 있었다. T 세포 클론 탐색
    검사는 재생불량빈혈의 병인 규명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 We analyzed T cell receptor β chain (TCRB) gene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putative T cell clones and its clinicopathologic implications in Korean patients with aplastic anemia (AA).
    Methods : Twenty-nine bone marrow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20 AA patients, 19 specimens from initial diagnosis and 10 from follow-up. T cell clonality assay was performed using IdentiCloneTM TCRB Gene Clonality Assay kit (InVivoScirbe Technology, USA) and automatic genetic
    analyzer. Patients’ clinical information and laboratory parameters were also analyzed.
    Results : Five patients had definitive underlying factors related with aplastic anemia, such as hepatitis B virus (4 cases) and benzene exposure (1 case). Putative T cell clones were detected in bone marrow specimens of 11 (58%) out of 19 patients at diagnosis. The location of putative T cell clones
    of TCRB gene (diversity region, Dβ; joining region, Jβ; variable region, Vβ) was distributed in Dβ2+ Jβ2 (6 cases), Dβ1+Jβ1 (3 cases), Vβ+Jβ1 (2 cases), and Dβ1+Jβ2 (2 cases). Interestingly, among seven patients who underwent stem cell transplantation, five patients with no T cell clones detected
    at diagnosis developed new T cell clones during the follow-up.
    Conclusions : Putative pathogenetic T cell clones were detected in most of AA patients in the current study. T cell clonality assay would be useful for investigating the pathophysiology of acquired A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