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洪範皇極內篇』에 나타난 蔡沈의 數本論과 그 세계관 - 宋代 象數易學의 사유지평을 중심으로 (Cai Shen's Doctrine of Number Substance and Its World-view in Hong-fan-huang-ji-nei-pian - Focused upon a Horizon of Xiang-shu Changes in Song dynast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0.12
46P 미리보기
『洪範皇極內篇』에 나타난 蔡沈의 數本論과 그 세계관 - 宋代 象數易學의 사유지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42호 / 35 ~ 80페이지
    · 저자명 : 김연재

    초록

    채침은 數學의 연역방식에 입각하여 송대의 數本論의 체계를 발전시켰다. 이는 송대의 상수역학의 지평을 엿볼 수 있는 단초가 된다. 그의 역학은 역사적으로는 북송시대 陳摶으로부터 시작하는 河洛學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는 부친인 채원정의 理數觀과 소옹의 數學觀의 영향 하에서 이해될 수 있다. 채침은 우주론에서 거론된 洪範九疇의 원리와 그 논리를 해석하면서 이를 河圖와 洛書의 數와 그 범주에 적용함으로써 일종의 河洛學의 단초를 마련했다. 이른바 河洛學에서는 인간이 객관세계, 즉 우주 혹은 자연계의 운행질서에 관한 원리 혹은 원칙을 감응하고 인식하는 능동적이고도 자율적인 인간의식을 중시한다. 이는 인간의 존재론적 강령을 구현하기 위한 최고의 준칙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그는 理와 수를 서로 분리할 수 없음을 강조하며, 만사만물의 리는 모두 수의 규정성을 지닌다고 생각했다. 그의 하락학에 관한 철학사적 의의로 말하면, 그는 세계의 법칙을 수학의 법칙으로 설명하고 물질변화의 법칙을 수학의 방식으로써 계산하며 심지어 예측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역학의 형이상학적 지평을 중시하여 數로써 理를 설명하고, 사물의 質의 규정성을 量의 규정성으로 환원시켰다. 이는 송대에 상수역학의 이론적 사유의 지평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는 사물의 量의 규정성을 추상적 수의 관념으로 여김으로써 일종의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말았다. 또한 그는 수 개념을 통해 사회의 윤리 규범이나 도덕법칙의 내용을 담지 못했다.

    영어초록

    The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Xiang-shu Changes in Cai Shen's Hong-fan-huang-ji-nei-pian. He understands the principle of the nine categories of Hongfan and its logic, applies them to the number of He-tu and Luo-shu and their categories, and thus helps to establish the science of He-luo. The science of He-luo puts emphasis upon the human consciousness of intuitively responding to a law concerning the revolving order of a heavenly body. It is to try to establish the ontological canon of humanity. Particularly, his view of principle and number is that number has a prescription of principle from the perspective of a unity of principle and number. It seems to me that his doctrine concentrates on a quantitative side, not on a qualitative one, in the changing world of material, which fall into "a fallacy of hasty generalization." But he cannot deduce the essence of ethical rule or moral law from a logic of numb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