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인들의 영원한 방자와 춘향 - 접경예술인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의 공연예술 활동과 그 의미 (Koryeoin’s Eternal “Bangja” and Chunhyang” : Border Artists Hae-Un Kim and Tatyana Song’s Performing Arts Activities and the Meaning)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12
39P 미리보기
고려인들의 영원한 방자와 춘향 - 접경예술인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의 공연예술 활동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48호 / 105 ~ 143페이지
    · 저자명 : 양민아

    초록

    구소련 시기 고려극장은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사할린에 거주했던 고려인들에게 떠나온 역사적 조국의 향수를 느끼게 해주는 마음의 고향이자 고려인 사회의 구심점이었다. 고려극장의 활동은 예술을 통해 고려인들의 사회주의화와 더불어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발현하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김해운과 그의 부인 송 타티야나는 고려인 1세대 공연예술인들로 초기 고려극장의 예술적 성향을 구축하는데 일조했다. 이들은 유일하게 연해주, 우즈베키스탄, 사할린에 소재했던 3개의 고려극장 그리고 현재 카자흐스탄에 소재하고 있는 고려극장까지 약 160년간의 고려인들의 이주 역사 속에서 존재했던 총 4개의 고려극장의 활동에 모두 관여한 접경예술인들이다. 이렇듯 그들은 소련시기 여러 지역에 소재했던 모든 고려극장들을 거치며 그 역사를 몸소 겪어낸 고려극장의 전설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려인 예술사 토대연구로 구소련 시기 여러 고려극장들의 역사와 맥을 같이하는 접경예술인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의 공연예술의 활동을 그들의 이주 경로에 따라 시기별로 정리하고, 시대적·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춘향전>에서 “방자”와 “춘향”으로 인상적인 연기를 펼쳐 고려인들에게 영원한 “방자”와 “춘향”으로 회자되는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의 공연예술 활동은 다음과 같이 4시기로 나눌 수 있다. 1) 연해주 시기: 원동변강고려극장(1920년대 후반~1937): 극장 성립기; 2) 우즈베키스탄 시기: 타슈켄트 고려극장(1939~1950): 극장 전문화기; 3) 사할린 시기: 사할린 주립 조선순회극장(1951~1959): 북한예술 수용기; 4) 카자흐스탄 시기: 카자흐스탄 고려극장(1976~1981, 1994): 전통 전승기. 이들의 공연예술 활동의 역사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해주 고려극장의 설립초기 고려인들의 민족적 춤과 노래를 중심으로 하는 에스트라다 공연 장르 확립; 둘째, 역사적 조국의 다양한 가무 전통의 재창조와 계승; 셋째, 배우로서 대체 불가한 독보적 캐릭터를 구축. 이처럼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는 역사적 조국의 예술과 거주국의 다양한 문화를 바탕으로 접경예술 공간이며 디아스포라 극장인 고려극장들의 예술성 확립과 설립, 중흥, 존속, 그리고 전통 전승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영어초록

    During the former Soviet Union, the Korean theater was a spiritual home that made the Koryeoin(Soviet Korean) living in the Maritime Province, Central Asia, and Sakhalin feel nostalgic for their historical homeland. It was the center of the Korean diaspora.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theater were a very effective means of socializing the Koryeoin and forming and expressing their national identity through Performing arts. Kim Hae-Un and his wife, Song Tatyana, were first-generation Korean performing artists and helped establish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early Korean theater. They are legendary border artists who experienced its history firsthand through all 4 Korean Theaters in various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organize the performing arts activities of Hae-un Kim and Tatyana Song in 4 Korean theaters as border arts spaces and to identify their meaning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Their performing arts activities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as follows: 1) Maritime Province period: Maritime Province Korean Theater (late 1920s~1937): the establishment of the theater; 2) Uzbekistan period: Tashkent Korean Theater (1939~1950):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theater; 3) Sakhalin period: Sakhalin State Chosun Touring Theater (1951~1959): the reception of North Korean arts; 4) Kazakhstan Period: Kazakh Korean Theater (1976~1981, 1994): the transmission of Koryeoin’s traditi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ir performing arts activities is as follows. First, the establishment of the Estrada performance genre centered on national dances and songs in the early days of Korean theater; Second, the recreation and succession of the various song and dance traditions of the historical homeland; Third, build a unique character that cannot be replaced as an actor. In this way, the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revival, survival, establishment of artistry, and inheritance of tradition of Korean Theaters based on the art of their historical homeland and the diverse culture of their countries of resid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