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영석 <유음납량 柳陰納凉>의 비전- 특히 정선의 <송음납량 柳陰納凉>의 비교를 통해서 (The vision of Jo Yeongseok's "Summer under Willow Trees" - Especially through the comparison of Jeong Seon's "Summer under Pine Tre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8
36P 미리보기
조영석 &lt;유음납량 柳陰納凉&gt;의 비전- 특히 정선의 &lt;송음납량 柳陰納凉&gt;의 비교를 통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55권 / 5 ~ 40페이지
    · 저자명 : 정병모

    초록

    이 논문은 조영석의 대표적인 산수인물화인 <유음납량>(손세기컬렉션)이 갖고 있는 회화사적 가치와 의미를 평가하고, 궁극적으로 이 그림이 지향하는 비전(vision)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 작품을 정선의 <송음남량>을 비교함으로써 18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두 화가의 양식적 특색을 파악하고 두 사람의 예술적 교류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조영석은 이 작품을 통해서 어떠한 회화적 지향성을 보였고, 그것이 자신의 인물화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파악한다.
    두 그림은 형식이 비슷하지만, 등장인물의 선택이나 그 표현양식에서는 차이가 난다. 정선은 등장인물을 표현주의적으로 그렸다면, 조영석은 등장인물을 풍성하면서도 격조있는 이미지로 표현했다. 조영석이 등장인물을 정선에 비해 보다 자유로운 모습으로 그린 것은 후에 서민풍속의 풍속화를 그린 것과 연계된다.
    조영석의 <유음납량>은 양면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한편에서는 아취 있는 엄격함을 갖추고 있으면서, 다른 한편에서는 통속적인 자유로움을 보여준다. 전자는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보편적으로 갖고 있는 이념이라면, 후자는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대한 비전이다. 조영석의 작품은 고고함과 통속성이 공존하고 있는 산수인물화다. 그의 자유롭고 탈속적인 산수인물화는 결국 통속적인 풍속화로 변해갔다. 이러한 양면적 특색은 새로운 변화를 향하는 조선후기 회화의 과도기적 특색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valuates the art-historical value and meaning of Jo Yeong-seok's "Summer under Willow Trees"(Son Se-gi Collection of Seogang University), to see what vision the painting is positively oriented toward. I would like to compare this work with Jeong Seon's "Summer under Pine Trees" to identify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wo artists representing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to examine the artistic ties between the two artist. Jo Yeong-seok, in particular, understands what painting direction he showed through this painting, and what it means in his all figure paintings.
    The two paintings have similar forms, but differ in the selection of characters and their expressions. Jeong Seon painted the characters expressively, while Jo Yeong-seok expressed the characters in a rich and dignified image. Jo Yeong-seok drew the characters in a freer manner than Jeong-seon, which later helped him draw genre painting.
    Jo Yeong-seok's "Summer under Willow Trees" has a ambivalence. On one hand it shows worldly freedom, on the other while it has a graceful rigor. The former is an ideology universally held by the noblemen of the Joseon Dynasty, while the latter is a vision of a new era. Jo Yeong-seok's work is the landscape and figure painting that coexists with a lofty and secular tone. His free and desultory painting eventually turned into the genre scene. These two-sided features illustrate the transitional features of late Joseon paintings heading for new 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