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채용신필 송사 기우만(松沙 奇宇萬, 1846-1916) 초상 연구 - 고산서원본과 부국문화재단소장본 (A Study of Portraits of Songsa Ki Woo-man by Chae Yong-sin -In a Gosanseowon collection and Buguk Cultural Foundation collec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05
32P 미리보기
채용신필 송사 기우만(松沙 奇宇萬, 1846-1916) 초상 연구 - 고산서원본과 부국문화재단소장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94호 / 65 ~ 96페이지
    · 저자명 : 김소영

    초록

    본 연구는 채용신이 제작한 송사 기우만의 초상화를 통해 호남지역 유림들의초상 제작 배경과 그 양상을 다각도로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기우만은 조선후기 호남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노사 기정진의 손자로, 구한말 그의 뒤를 이어 호남 유림의 구심적 역할을 했다. 채용신의 기우만 초상화는 1916년 10월에 제자들과 문인들의 요구로 채용신에 의해 2본이 제작되었다. 이와 함께 기우만의 문인들이 1923년 영정개모를 도모하여 여러 논의 끝에 초상화 1본을 제작한 사실이 양회갑, 오동수 등이 주고받은 간찰을 통해 확인되었다.
    채용신은 고산서원본과 부국문화재단본의 복식과 자세를 달리하여 그렸다. ‘노사학파’를 대표하는 문인이자 호남 유림의 상징적 인물로서의 심의를 착용한 모습의 고산서원본은 학맥의 시각화를 보여줄 수 있는 심의본 차림의 엄숙하고 단정한 초상화이며, 평상복을 착용한 예의 부국문화재단본은 기우만의 유학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채용신이 두 초상화의 모습을 달리하여 제작한 이유는 주문자였던 학문적 집단 혹은 문중의 의도가 존재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채용신은 기우만 초상화를 제작한 이후 오준선을 비롯해 고광선, 심원표, 채면묵, 위계룡 등 기정진․기우만 문하 문인들의 초상화를 제작하였다. 이들 모두 지속적인 강학활동을 통해 후학들을 양성하면서 학맥을 계승하는 한편 근현대 호남 유교 문화를 보전하고 유림을 이끌던 인물들이다. 채용신은 이들의 복식, 지물 등을 적절히 사용하면서 각각 인물의 정체성을 부여하며 특징을 나타냈다.
    한편 채용신 이후 호남 유림들의 초상화는 설산 최광익에 의해 다수 제작되었다. 기우만의 아들인 기낙도, 오준선의 아들 오헌수와 조카 오동수, 심원표의 손자 심종대 등의 초상화는 그들의 선친과 같은 사당, 사우에 함께 추숭되어 봉안되었다. 이처럼 20세기 중반까지 호남지역의 많은 유림들의 초상이 제작된 배경에는 유교적 전통과 학통의 맥을 초상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주려는 당시 유림들의 문화 내에서 제작된 것이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aspects of portrait production of Confucian scholars in Honam from various angles through the portrait of Song Sa Ki-woo-man produced by Chae Yong-shin. Ki-woo-man was the grandson of No Sa Ki Jeong-jin,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in Hon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ucceeded hi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layed a central role as a Confucian scholar in Honam. Chae Yong-shin's two portraits of Ki Woo-man was produced in October 1916 by Cho Yong-shin at the request of his disciples and followers.
    At the same time, it was confirmed through an letters between Yang Hoe-gap and Oh Dong-soo that Ki Woo-man's followers produced a portrait after several discussions in 1923 to promote the reproduction.
    Chae Yong-shin drew the costumes and posture of <Gosanseowon collection> and <Buguk Culture Foundation collection> differently. As a representing the "Nosa school" and a symbolic figure of Honam Confucianism, he wore deep robe <Gosanseowon collection> is a solemn and neat portrait with deep robe that can show the visualization of the academic background, and <Buguk Culture Foundation collection> in ordinary clothes shows Ki Woo-man's appearance as a Confucian scholar. It is believed that the reason why Chae Yong-shin produced the two portraits differently is because there was an intention of the academic group or the family that was the order.
    After producing the portrait of Ki Woo-man, Chae Yong-shin produced portraits of Ki Jeong-jin and Ki Woo-man followers, including Oh Jun-seon, Ko Gwang-seon, Shim Won-pyo, Chae Myeon-muk, and Wi gyeong-ryong. All of these were people who preserved modern Honam Confucian culture and led Confucian scholars while inheriting their academic background by cultivating their younger students through continuous academic activities. Chae Yong-shin showed characteristics by appropriately using their costumes and various items, giving each person's identity. Meanwhile, after Jo Yong-shin, many portraits of Confucian scholars in Honam were produced by Seolsan Choi Kwang-ik. Portraits of Ki Woo-man's son, Ki Nak-do, Oh Jun-seon's son, Oh Heon-soo and nephew Oh Dong-soo, and Shim Jong-dae, Shim Won-pyo's grandson, were respect and enshrined together in the same shrine and shrine as their father. In the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portraits of many Confucian scholars in Honam until the mid-20th centur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were produced within the culture of Confucian scholars at the time to visually show the vein of Confucian tradition and learning through portra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