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한국계 시인들, 디아스포라, 귀환의 방식: 마종기, 캐시 송, 명미 김의 시를 중심으로 (Korean  American  Poets,  Diaspora,  Returning:  Focusing  on  the  Poems  of  Ma,  Jong‐gi,  Cathy  Song,  and  Myung  Mi  Kim)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0.12
36P 미리보기
미국의 한국계 시인들, 디아스포라, 귀환의 방식: 마종기, 캐시 송, 명미 김의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권 / 3호 / 467 ~ 502페이지
    · 저자명 : 정은귀

    초록

    이즈음 빈번히 논의되고 있는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을 하나의 틀로묶는 것은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불가능하다면 무엇 때문에? 이 글은 최근 문학담론에서 중요한 의제로 부상한 탈경계 문학과초국가적 담론에서 제기되는 국민문학의 경계에 대한 논의를 심화하기 위하여 미국의 한국계 시인들, 마종기, 캐시 송, 명미 김의 작품을 비교 분석한다. 영어와 한국어라는 다른 언어로 시를 쓰는 이들 시인을 비교하면서,떠나온 곳으로 돌아올 수 없지만 시를 통하여 상상의 귀환을 시도하는 이들의 시 작업이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틀에서 어떻게 읽어낼 수 있는지를 살피고, 이민 세대나 언어의 차이에 따른 시인들의 특이성이 어떻게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범주를 문제화하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먼저, 성장한 후에 미국에 건너가 지금까지 한국어로 꾸준히 시를 발표해 온 마종기의 경우, 4·19세대이면서 한글 1세대로서의 시인의 민족적, 언어적 정체성이 미국이라는 공간을 거치면서 끊임없는 귀환 운동의 방식으로 디아스포라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 귀환 운동은 무엇보다 한국어의 몸을 입고 있기에 뒤의 두 시인과 차별화되는데,먼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 한국/조선의 역사를 다시 쓰는 작업에서부터 지금 일상의 삶 속에서 돌아갈 곳을 찾아 떠도는 황혼녘, 한 영혼의 열망에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됨을 알 수 있다. 시인이 떠나온 땅, 두고 온 땅에 대한 향성(向性)을 끝끝내 지니고 살아가고 이것을 시화하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이 글은 그간 마종기의 시를 규정짓던 보편적 서정의 틀을 좀 더 특수하고도 구체적인 디아스포라의 경험 안에서 예각화하는 작업이 된다.
    캐시 송의 경우, 이민 3세대로서의 시인의 정체성이 그의 시에 드리운독특한 서정적 아름다움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캐시 송의 귀환은 마종기 시의 화자처럼 한국을 끊임없이 바라보는 귀환의 방식이 아니라, 할머니 세대의 이민사를 다시 그려 보이는 가족 서사를통해 완성되는 상상의 귀환, 추억의 서사이다. 그의 시가 성취한 독특한서정성이 한국인 혹은 한민족의 시선에서는 어떤 미묘한 정서적 거리감을동반한다는 사실도 문제적인데, 이 점을 본고는 시인이 이민 3세대이기 때문에 갖게 되는 비교적 안정적인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의 문제와 닿아있다고 본다. 한편, 명미 김의 시는 한국과 미국 그 어떤 곳에도 안전하게머무를 수 없는 탈영토적 미학으로써 디아스포라의 의미를 풀어나간다는점에서 ‘사이’의 영역에 거하는 이산의 삶을 반추한다. 독특한 반복과 겹침의 이미지를 통해 시화한 한국과 미국이라는 공간,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존재의 고투를 드러내는 그의 실험적 언어 형식은 시의 정치성을 한결 더 예민하게 드러내 보인다. 명미 김의 시에서 ‘귀환’은 마종기의 시에서 드러나는 가없는 열망의 정서나, 캐시 송 시의 다소 낭만화된 과거와일부 겹쳐지기도 하지만 동시에 또 지금 그 곳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개입되는 언어적, 문화적 충돌의 자장을 문제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탈영토적 부정성의 방식으로 탐구된다. 그런 점에서 그의 시 또한 한국으로의 현실적 귀환이 아니라 정치적 미학의 방식인 상상의 귀환 운동을 통한 현재적 삶의 모색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이 세 시인들을 통해서 이 글은 이즈음 빈번히 제기되는 민족문학, 국민문학, 세계문학 논의의 틀에서 자주 제기되는 언어적, 민족적 정체성의문제를 재점검한다. 나아가 이 글은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이라는 비평의틀 또한 한민족이라는 뿌리 깊은 공동체적 의식을 환기하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서로 다른 세대와 성, 언어의 차이에 따라서 쉽게 귀결지을 수없는 정체성의 문제와 이산의 삶을 사는 존재들의 복잡한 의식, 다른 지점들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는 문제적 틀임을 밝힌다. 그 점에서 이 글은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다양성을 미국의 한국계 시인들의 시를 통해바라보면서 기존의 읽기에 노정된 언어적, 민족적 ‘정체성’의 경계와 국민문학, 초국가 담론, 세계 문학의 영역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가능하게 만든다.

    영어초록

    What  does  it  mean  to  talk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in the  era  of  transnational  literature?  Can  we  say  that  Korean diaspora  literature  is  to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nations? Is  it  crossing  or  erasing  of  the  boundaries?  Does  it reconsolidate  or  expand  the  boundary  of  Korean  or  American literature?  Beginning  with  these  questions  embedded  in contemporary  literary  discourse,  this  essay  revisits  the  poems of  three  Korean  American  poets,  Ma  Jong‐gi,  Cathy  Song,  and Myung  Mi  Kim  and  reads  their  poems  in  terms  of  different ways  of  ‘returning.’   As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  in  the  United States,  Ma  has  written  so  many  poems  in  Korean  and  met Korean  readers.  In  his  rewriting  of  the  past  history  and  his exploration  of  home  in  the  far  land,  we  witness  how  Korean Diasporic  poetry  can  be  the  variations  of  endless  returning.  In the  poems  of  Cathy  Song,  the  third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  on  the  other  hand,  we  see  the  lyric  voice  of  the poetic  subject  reiterate  the  stories  of  her  ancestors,  rekindling the  memories  of  the  Korean  immigration.  Her  poetry,  at  once proving  the  finest  beauty  of  lyric  form  in  the  line  of American  poetry  written  in  English,  exemplifies  the problematic  emotional  distance  as  a  spectator  of  Korean history.  As  1.5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s,  Myung  Mi Kim  stands  in  a  very  peculiar  space  of  betweenness;  between Korea  and  America,  between  Korean  and  English. Constructing  her  condition  of  living,  speaking,  and  writing  as the  de‐territorialized  space  of  negativity,  her  poems  touch  a certain  field  of  politicized  aesthetics.    Revisiting  the  poetic  world  of  these  three  Korean American  poets,  we  see  how  complicated  and  various  the positions  of  diasporic  subjects  are  especially  in  terms  of Korean  American  literature  or  Korean  diaporic  literature.  All three  poets,  reflecting  the  dynamics  and  trajectories  of  Korean American  transits,  question  the  transmigratory,  transnational, settling  and  unsettling,  assimilation  and  negativity  and  make the  frame  of  identity  politics,  national,  transnational,  or  world literature  more  problema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