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현대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방법 연구(3) -『애송시조집』을 대상으로 (Research on the Compilation Methods of Modern and Contemporary Gosijo Anthology (3) ‒Focusing on the E a s o n g S ij o C o ll e c t i o 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01
21P 미리보기
근현대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방법 연구(3) -『애송시조집』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94호 / 1 ~ 21페이지
    · 저자명 : 김태웅

    초록

    이 글은 1946년 100수의 고시조 작품과 그 위에 100개의 그림이 있는 『애송시조집』을 상으로 근현 고 시조 앤솔로지 편찬방법에 한 연구를 진행하다. 『애송시조집』은 100수의 작품을 안서 김억이 선별하고, 조병덕이 그림을 그렸다. 『애송시조집』은 작가가 모두 기록되어 있는데 유명씨 작품은 93수, 실명씨 작품은 7수이다. 윤선도와 박효관의 작품은 4수씩 수록되어 있고 정철, 김수장, 황진이는 3수, 이정보, 인평군, 최 충, 김유기, 주의식, 이정신은 2수, 나머지 작가는 1수씩 수록하고 있다. 『애송시조집』의 고시조 작품은 성충 등 백제시부터 조선시 인물까지 나타나는데 왕, 왕족, 문인, 무인, 중인, 기녀 등 조선후기 가집과 비슷한 작가군을 형성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아래 편찬된 근 고시조 앤솔로 지의 경우 열성어제의 작품이 수록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애송시조집』은 해방 후에 나온 고시조앤솔로 지이기 때문에 태종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애송시조집』의 선별방식은 제목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애송하기 좋은 작품, 즉 예로부터 지금까지 인기 가 많았던 작품을 수록하려고 편찬자는 노력했다. 형식상 근 가투인 『정선화가투』, 『시조노리』의 형식인 100수의 작품과 100개의 삽화라는 형식을 그로 차용했지만 『애송시조집』에만 수록된 작품이 27수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시가 바뀌면서 애송하는 작품이 바뀌고 그 흐름 속에서 편찬자가 고시조 작품을 선별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삽화를 통해 독자 의식까지 확인할 수 있다. 『애송시조집』에 삽화가 작품을 형상화 하는 방식은 독 자가 시조를 좀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데 있다. 하지만 삽화는 이 시기 독자의 한계이기도 하다. 『애송시조 집』의 삽화가 독자들에게 시조 작품에 한 이해를 돕고 있다면 독자 스스로 시조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 렵다는 점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text seems to discuss a study conducted on the compilation methods of modern and contemporary Gosijo poetry anthologies, focusing on the E a s o n g S ijo C o ll e c ti o n containing 100 Gosijo works from 1946 along with 100 accompanying illustrations. The E a s o n g S ijo C o ll e c ti o n was curated by Kim Eok, selecting the 100 works, while Cho Byeongdeok provided the illustrations. All authors of the E a s o n g S ijo C o ll e c ti o n are recorded, with 93 works attributed to a famous individual, 7 to an anonymous figure. Works by Yoon Seondo and Park Hyogwan are featured four times each, while Jung Cheol, Kim Sujang, Hwang Jin-i are included three times. Works by Lee Jeong-bo, Inpyeong Daegun, Choi Chung, Kim YugI, Ju Uisik, Lee Jeongsin are included twice, with the remaining authors contributing one work each. The sijo works in the Easong Sijo Collection span from figures in the Baekje Dynasty to tho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ming a similar group of authors to the late Joseon period, including kings, royalty, scholars, peasants, middle-class people, and female entertainers. In anthologies compil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s typical that works of passionate nationalism were not included. However, as the Easong Sijo Collection emerged after liberation, it includes works from the Taecho period.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Easong Sijo Collection can be inferred through its title. The compilers aimed to include works that were popular historically and up to the present, considering pieces favorable for recitation. Although the format structurally mimics the “HwaGa-Tu,” 100 works in the style of “Sijo Noli” along with 100 illustrations, the fact that 27 pieces are exclusively found in the Easong Sijo Collection suggests a change in the trend of favored Gosijo compositions with the passage of time, influencing the selection by the compilers. Furthermore, the illustrations provide insight into the readers’ perceptions. The visualizations in the Easong Sijo Collection aid in making the sijo works more accessible to readers, yet they also signify the limitations of the readership during that period. While these illustrations assist in understanding sijo works to some extent, they also indicate the difficulty readers might face in fully comprehending the sijo independ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