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광사(松廣寺) 가람 배치의 교리적 이해 ; 선교합일(禪敎合一) 사상과 그 건축적 실현 (A Study on the Site Layout of Songgwangsa ;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of Samadhi and Doctrine Concomitanc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0.10
10P 미리보기
송광사(松廣寺) 가람 배치의 교리적 이해 ; 선교합일(禪敎合一) 사상과 그 건축적 실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1권 / 5호 / 259 ~ 268페이지
    · 저자명 : 양상현

    초록

    송광사의 가람배치를 이해하는데 있어 사찰의 조영(造營)을 이끌었던 보조국사 지눌의 선교합일(禪敎合一) 사상은 의미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송광사의 전체 배치를 크게 둘로 나누어 진입부에서부터 불전까지의 영역을 하단으로, 불전 뒤 높은 석단 위에 위치하는 선원 영역을 상단이라 부를 수 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한 하단의 구성에서 지눌과 그의 제자들은 화엄의 정신을 법계도의 형상으로 모사하여 전각의 짜임에 반영하였고 그 중심 불전에 비로자나불을 두어 도상을 완성하였다. 송광사의 이어진 중창과정에서 선가의 청규사상이 새롭게 해석되어 하단의 중심에 불전을 건축하고 그 상단에 대를 쌓아 선원 영역을 축조하는 이원적 배치를 통하여 전래의 방법과 같이 불전을 존치하면서도 선(禪)의 공간인 법당을 중시한 청규의 본 정신이 구현될 수 있었다. 송광사의 전모는 지눌의 당시에 그 뼈대가 갖추어져 고려에서 조선이 이르는 누대의 중창 과정을 거쳐 완성된 것으로 지눌의 가르침이 제자들을 거치며 존숭, 계승된 바, 그 사상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추론할 수 있다. 부처가 입으로 설한 것이 교(敎)요, 조사가 마음으로 전한 것이 선(禪)이라는 선교합일의 사상은 송광사의 상단과 하단의 이원적 가람 배치를 통해 오롯이 구현되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inciples of Songgwangsa site layout in the view of constructor's religious thought. Songgwangsa fell into disuse until Monk Jinul(National Preceptor Bojo, 1158-1210) made it the site of his Cheonghye-Keolsa(Samadhi and Prajñā Incorporation Community). The idea of samadhi and doctrine concomitance of Jinul and his followers was represented in the temple layout planning of Songgwangsa.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in this temple is divided into two part, the first is the lower area included Daeungjeon where the statue of Buddha is enshrined, the second part constructed on the platform with stones behind Daeungjeon is upper area included Seolbeobjeon and Suseonsa. The lower part of Songgwangsa surrounding Daeungjeon, in accordance with the doctrines of Buddhism, is centripetally composed and reflects the diagram of Bupkyaedo. Bupkyaedo is a diagrammatic chart to present the 'Whaeom' theory, one of the Buddha's teaching, doctrine. The buildings in the lower area of Songgwabgsa were arranged along the diagram of Bupkyaedo. The upper part, however, constructed on a stone base above Daeungjeon, follows the spirit of Zen, Samadhi. Jinul and his followers combined these two meanings(Samadhi and Doctrine) into the layout of Songgwangsa ingeniously. After Jinul died in 1210, his thought was perpetuated by succeeding followers in this temple. The concept of Samadhi and Doctrine concomitance advocated by Jinul became the main principal building layout rule of Songgwangsa and it was kept by his followers in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is temple. It can be argued that the layout of the whole site planning of Songgwangsa is the architectural equivalent of Jinul and his followers's thought, which is focused on the concomitance of Buddha's teaching, Doctrine and monk's mind, Samadh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