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溪 申季誠 가계의 밀양 정착과 후대의 추숭과정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the Settlement of Miryang in the Songgye Shin Gye-seong Family House And The process of worshiping Song-gye in later generation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3
23P 미리보기
松溪 申季誠 가계의 밀양 정착과 후대의 추숭과정에 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61호 / 35 ~ 57페이지
    · 저자명 : 신상필

    초록

    松溪先生으로 알려진 申季誠(1499-1562)은 흔히 南冥 曺植의 ‘畏友’로 언급되고는 한다. 송계는 平山을 본관으로 하는 고려 건국의 충신인 壯節公 申崇謙의 후예로 연산군 5년 밀양 후사포리에서 출생해 명종 17년에 향년 64세의 일기로 삶을 마친 인물이다. 하지만 송계 신계성의 행적은 문학이나 사학, 혹은 철학계에서 그리 주목을 받지 못한 분이다. 다만 사학계에서는 조선전기 영남 지역의 사림 학맥을 고찰하면서, 혹은 남명 조식의 학술적 면모를 언급하는 과정에 잠시 언급되고는 할 뿐이다. 하지만 송계가 영남 지역 사림의 한 부분을 대표하며 남명과 함께 언급된다는 점에서 학계가 간과할 수 없는 인물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밀양이라는 지역은 이미 삼한시대에 김제의 벽골제, 제천의 의림지와 함께 수산제와 같은 수리 시설을 갖춘 농경 지역이었다. 또한 낙동강을 이용한 漕運倉의 운영은 물론 嶺南大路의 거점에 놓인 嶺南樓라는 조선3대 누각에 꼽히는 문화적 존재가 증명하듯 주변 지역과의 관계망을 갖춘 경제의 중심으로서 근대 전환의 시점까지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지역적 기반을 바탕으로 春亭 卞季良(1369-1430)과 佔畢齋 金宗直(1431-1492)의 뒤를 이어 사림의 중망을 얻은 송계와 같은 인물의 등장이 일견 자연스럽게 여겨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송계 신계성의 면모와 학적 형상은 춘정과 점필재에 비해 그리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나 남명을 비롯해 명종 때 領相을 지낸 東皐 李浚慶, 錦溪 黃俊良 등의 언급을 볼 때 영남 사림의 한 부분인 송계의 존재를 무시할 수는 없을 듯 하다. 송계가 남명, 黃江 李希顔과 세상에서 嶺中三高로 일컬어지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본고는 송계 가문의 밀양 정착 과정으로부터 후대인들의 송계 추숭 과정을 살펴 그의 영남지역에서의 위상을 엿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Songgye Shin Gye-seong is often referred to as the 'A respectable friend(畏友)' of the Nammyung Jo-sig. Songgye is a descendant of Chungbonggol, a loyalist of the Goryeo Dynasty, who is based in Pyeongsan, and was born in Sapori Milyang Province, and finished his life as a 64-year-old diary. However, Song 's work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history, or philosophy. However, in the field of history, it is only mentioned for a while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academic field of the Young-nam area of ​​Joseon and mentioning the academic aspect of the Nammyung Jo-sig. In this regar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osition of Song-gye is not easily overlooked in academia because it is mentioned together with Nammyung, representing a part of Young-nam area. From the geographical viewpoint of society and culture, the area of ​​Miryang was already an agricultural area with irrigation facilities such as susanje(守山堤) along with Kimje's byeoggolje(碧骨堤) and Jecheon's uilimji(義林池) in the age of Samhan.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Nakdong river, Youngnam Roo, located at the base of Youngnam Highway(嶺南大路), proved to be one of the three major pavilion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such a regional basis, the appearance of a character such as Songgye, who gains the grandeur of Sarim(士林) following Byeon Gye-lyang and Kim Jong-jig, seems natural at first glance.Nevertheless, the facial features and academic aspects of Songgye do not come to mind as easily as those of Chunjung and Jumphiljae. However, when referring to Dong-go Lee Jun-kyung, and Geum-gye Hwang Jun-lyang, who have been in the prime minister during the Myeongjong period, including Nammyong, I do not think so. It is in the point that Songgye was referred to Nam Myeong, Huang-kang Lee Hee-an, as Yongjungsanggo(嶺中三高).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the Song-gye of the later generations from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the Song-gye family in Miryang and seeks to elucidate his status in the Yeongnam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