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浦公朝天日記를 통해 본 萬病回春의 국내 수입 시기에 관한 小考 (A brief review on the domestic import period of Man-Byeong-Hoi-Chun as seen through SongpoGong Jocheonilgi)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05
10P 미리보기
松浦公朝天日記를 통해 본 萬病回春의 국내 수입 시기에 관한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의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의사학회지 / 37권 / 1호 / 75 ~ 84페이지
    · 저자명 : 이준규

    초록

    이 논문에서는 『만병회춘』의 국내 도입시기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萬病回春』의 최초의 국내 도입시기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고, 1608년 『醫林撮要續集』과 1610년에 완성된 동의보감에서 『만병회춘』을 인용하고 있어 그 이전에 들여왔을 것으로 추정할 따름이었다. 1603년 11월 26일에 정혹이 謝恩兼陳奏使로 임명되어 명나라를 다녀오면서 기록한 연행록 『송포공조천일기』에 연행의 목적과 일정 등을 기록했으며 또한 『만병회춘』을 포함하여 수입한 도서목록들이 적혀있다.
    『송포공조천일기』중 1604년 4월 8일과 4월 13일 사이에 있는 대목에 여러 서적과 지도 등에 대한 구매 내역이 확인된다. 그 도서 구입 내역 중 『만병회춘』을 구입했음이 기록되어 있다. 『송포공조천일기』가 1604년을 시대적 배경으로 삼고 있음을 볼 때, 동의보감이 인용한 만병회춘 판본이 1588년의 蘇州葉龍溪刻本이었는지, 1602년의 金陵周氏刻本이었는지 판본 여부는 알 수가 없다. 또 정혹이 조선으로 『만병회춘』을 1604년에 수입했을 때가 조선으로의 최초 수입일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최소한 이를 통해 1604년이나 그 이전에 수입이 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송포공조천일기』는 그간 불분명했던 만병회춘의 국내 도입 시기를 명확하게 기록하고 있고, 그 기록이 현재로서는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앞선 시기였음을 확정하기 때문에 해당 저서의 명확한 조선 유입 시기를 밝히지 못했던 醫史學적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eriod of introduction of Man-Byeong-Hoi-Chun (萬病回春) into Korea. It was not known until now when the first introduction of Man-Byeong-Hoi-Chun into Korea was introduced in Korea, and since Man-Byeong-Hoi-Chun (萬病回春) is cited in the Sequel of Uirimchualyo (醫林撮要續集) in 1608 and the Donguibogam completed in 1610, it could only be assumed that it was introduced before then. This paper reveals that, on November 26, 1603, Jeong Hok was appointed as a Joseon envoy to the Ming Dynasty and recorded the purpose and schedule of the trip in the Yeonhaengrok SongpoGong Jocheonilgi (松浦公朝天日記), written during his visit to the Ming Dynasty. Between the 8th and the 13th of April, purchase details for various books and maps are confirmed. Among the book purchase details, it is recorded that he purchased Man-Byeong-Hoi-Chun. Considering that SongpoGong Jocheonilgi is based on the period of 1604, although it is unlikely that it was the first import into Joseon, it is possible that Man-Byeong-Hoi-Chun was imported at least in 1604 or earlier through the purchase of Jeonghok's book recorded in Yeonhaengrok. SongpoGong Jocheonilgi clearly records the time when Man-Byeong-Hoi-Chun was introduced into Korea, which had been unclear so far,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ecord is the earliest period that can be confirmed at present, so it is significant in terms of medical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