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행귀의 <普賢十願頌> 연구 - <보현십원가>와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The Chinese Translated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by Choi Hang Gwi and Its Characteristic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02
28P 미리보기
최행귀의 &lt;普賢十願頌&gt; 연구 - &lt;보현십원가&gt;와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33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김기종

    초록

    이 글은 선행연구의 문제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기존 논의와는 다른 측면에서 <보현십원가> 漢譯의 양상과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현십원송>은 기본적으로 <보현십원가>의 구성과 내용을 따르면서도, 구체적인 내용 및 표현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특히 부처만을 노래하고 있는 향가와 달리 ‘보살’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覺帝․醫王’ ‘聖․賢’ 등과 같이 부처와 보살을 위계적인 관계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丹衷’․‘至心’ 등의 시어를 통해 고해에서 벗어날 것을 지향하고 있는 동시에, 고해를 벗어나는 것이 그만큼 어려운 일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분별 초월의 역설적 표현 및 ‘부처의 일’과 관련된 노랫말들을 모두 삭제한 뒤, “한결같은 마음으로 쉼 없이 외운다면/ 보현보살의 자비심을 따라 배울 수 있으리”라는 시행으로 작품 전체를 끝맺고 있다.
    그 결과, <보현십원송>은 내용 및 표현뿐만 아니라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보현십원가>와 차이를 보인다. <보현십원가>가 청자들이 모두 부처가 될 수 있고 되어야 함을 노래하고 있다면, <보현십원송>은 독자들이 보살의 길을 지향해야 하고 이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과 정성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보현십원송>은 <보현십원가>와 다른 별개의 작품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iewed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nslation of“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 fromexisting discussion, while considering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The discourse up to now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lthough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follow the construct and contents of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basically, detailed contents and expressions are different. Especially, the former emphasizes ‘Bosal’ unlike Hyangga which praises Buddha only, and explains the relationship of Buddha and Bosal as hierarchical relationship such as ‘Gakje and Euiwang (覺帝․醫王)’ ‘Seong and Hyeon (聖․賢).’ Additionally, through poetic language such as ‘Danchung(丹衷)’ and ‘Jisim(至心),’ the speaker orients to the escape from the bitter humanworld and it also shows at the same time that escaping from the bitter world isvery difficult. Deleting all verses related to ‘works of Buddha’ and paradoxical expressions of discernment and transcendence, it closes the work with the verse suchas “If you memorize it without pause with unchanging mind, you may be able tolearn the mercy of Bohyeon‐bosal.”Consequently,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is different from“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not only in contents and expressionbut also in thematic consciousness. While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tells audience that everybody can and should be Buddha,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emphasizes that everybody goes toward the way ofBosal and continuous efforts and sincerity are needed for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me,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is a separate work totally different from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