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와 중국왕조들의 아악악장 비교 - 고려와 송・금・원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Aak Akjangs of Goryeo Dynasties and Chinese Dynasties)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9
55P 미리보기
고려와 중국왕조들의 아악악장 비교 - 고려와 송・금・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39호 / 295 ~ 349페이지
    · 저자명 : 조규익

    초록

    선진지역으로부터 후발지역으로 전파되어 공통의 정신적 질서를 만들어낸 것이 예악문화였다. 고려와 조선조는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인 유교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예악제도를 수립함으로써 중세적 보편성을 구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집권세력은 집권세력대로 민중은 민중대로 그것을 자신들의 왕조에 대한 자부심의 근거로 삼았다. 천명에 따라 성립된 왕통체계의 자부심, 백성들을 위한 선정(善政)의 명분, 어렵게 이룩한 왕조를 영속시켜야 할 당위성 등은 그들이 음악이나 악장 등 예악에 담고자 한 핵심적 주제였다. 아악 악장들이 『시경』의 전통을 이은 송나라 악장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고, 고려의 당악이나 속악 등 연향악과 그에 올려 부르던 악장들도 대부분 송을 통해 도입된 당악이나 송사들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들이었다. 무엇보다 고려 왕조가 당・송・금・원・명이 통시적・공시적으로 형성하던 국제정치의 현실 속에서 중국의 음악을 도입해 쓰는 것을 생존외교의 일환으로 생각했다는 점은 예악이 단순한 의례에 그치는 문제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말기의 고려 정권이 송・금・원에서 음악 혹은 악장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한 자리에서 밝히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음악이나 악장의 테두리를 벗어나 당대 정치・외교적 범주의 사안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 시기 중국에서는 북송・요(遼)[거란(契丹]・금(金)[여진(女眞)]이 패권을 다투었고, 고려는 이런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매우 현실적인 외교를 펼치고 있었다. 따라서 고려의 음악이나 악장에 이들 왕조의 것들이 일부 섞여 있는 점은 그런 복잡한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 송나라 휘종은 조서에서 ‘고려의 왕이 바깥에 있으면서 의(義)를 사모하여 동화(同化)해왔고, 신악을 원하므로 신악을 내린다’고 함으로써 동화의 대상 안에 음악을 포함시켰다. 음악이 단순히 음악으로 끝나지 않고 악장이나 의례로 확장되면서 예악제도가 이루어지고, 결국 왕조의 품격을 보여줌으로써 한 시대의 문화로 승화되는 것임을 당시의 지배자들도 깨닫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타인의 관점이나 이데올로기를 받아들여 그것을 자신의 의식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동화이다. 따라서 그것은 예악제도나 문화에 내재하는 보편성을 공유하는 데서 정치 차원으로까지 확대되는 개념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들 네 왕조의 악장이 언어와 국경을 초월하여 공유하는 유사성이란 시대와 지역의 차이를 뛰어넘어 인정할 수밖에 없는, 일종의 보편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보편성이란 유교 이데올로기와 한자문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예악문화의 측면에서 고려가 중세왕조의 대열에 합류했음을 보여주는 뚜렷한 증거를 음악과 악장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영어초록

    It was the Yeak(禮樂) culture that spread from developed regions to undeveloped regions and created a common spiritual order. By establishing the Yeak system based on Confucian ideology accepted by China, medieval universality could be realized. And, either the ruling class or the lower class used it as the basis for their pride in their dynasty. The pride about the royal ruling system established according to Heaven’s command, the virtues of a benign rule for the people, and the legitimacy to perpetuate the dynasty build with difficulty were key themes they wanted to put into music and Akjang(樂章). There is no doubt that the Aak(雅樂) Akjang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Song Dynasty's Akjangs and most of the Yeonhyang(宴享) music, such as the Tang-ak(唐樂) of Goryeo and the traditional music of Song,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Tang-ak or Songsa(宋詞) introduced through Song. Above all, the fact that the Goryeo Dynasty considered introducing and using Chinese music as a part of its survival diplomacy in the realities of international politics, which were formed by Tang, Song, Jin, Yuan, and Ming, shows that Yeak was not just a matter of ritual. It is very important to define in this paper the fact that the late Goryeo regime was influenced by music or Akjang at the Song, Jin, and Yuan. It was because it could be a contemporarily political and diplomatic issue of the time beyond the boundaries of music or Akjang. During this period, North Song, Kitan, and Yeojin struggled for supremacy, and Goryeo was closely watching this situation and engaged in very realistic diplomacy. Therefore, the fact that some of these dynasties are mixed in the music and Akjang of Goryeo reflects such a complex reality. The Emperor Hwijong of the Song Dynasty included music in the objects of assimilation by saying, "The king of Goryeo has been outside and has been assimilating for adoring righteousness, and I give music according to his want." It was shown that the rulers of the time realized that music did not just end in music, but expanded into Akjang and ceremonies, resulting in a system of Yeak, and eventually sublimated into the culture of an era that showed the dignity of the dynasty. It is the meaning of assimilation to accept other people's perspectives or ideologies and transform them into their own 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also a concept that extends from sharing the universality inherent in the Yeak system or culture to the political level. Therefore, the similarities shared across languages and borders by these four dynasties should be seen as a kind of universality that has no choice but to admit beyond the differences between times and regions. And the universality is based on Confucian ideology and Chinese character culture. That's why there is clear evidence in music and Akjang which shows that Goryeo joined the ranks of the medieval dynasty from the angle of Yeak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