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타(요가)쁘라디삐까』Haṭha(yoga)pradīpikā의 시형론 I_389송에 대한 운율 분석_ (On The Prosody of Haṭha(yoga)pradīpikā (I))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3.12
44P 미리보기
『하타(요가)쁘라디삐까』Haṭha(yoga)pradīpikā의 시형론 I_389송에 대한 운율 분석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9호 / 61 ~ 104페이지
    · 저자명 : 박영길

    초록

    『하타(요가)쁘라디삐까, Hp』는 나타(Nātha)파 요가의 고전이자 하타요가의 수행 체계를 완성한 문헌이다. 방대한 필사본과 다수의 주석서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Hp에서 제시된 수행 전통이 스승에서 제자로 계속 전수되었다는 점에서 Hp의 영향력과 권위는 여타의 하타요가 문헌과 구별된다. 하지만 Hp 내에서 Hp의 문헌적 권위를 하락시킬 수 있는 요소도 발견되는데 그것은 용어 사용이 느슨할 뿐만 아니라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Hp가, manas와 citta를 거의 구별하지 않고 심지어 동일 게송 내에서조차 혼용하고 있다는 것이 한 예이다. 하지만 Hp가 citta와 manas와 같은 용어를 혼용했던 이유 그리고 수슘나, 꾼달리니와 같은 하타요가 특유의 용어가 혼란스러울 정도로 많은 대체어를 지닌 이유는 의외로 단순한 것에서 발견되었는데, 그것은 운율상의 제약 때문으로 판단된다. 필자가 다룰 내용은 두 가지인데 하나는 ‘운율적 제약에 따른 주요 용어의 다양한 대체어’를 검토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예비적인 작업으로 Hp의 389게송의 운율을 분석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먼저 예비적인 작업으로 Hp의 389 게송에서 사용된 운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Haṭha(yoga)pradīpikā(Hp) of Svātmārāma(A.D. 1450) is considered as a classical text of Nātha yoga tradition. The Authorit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ractice method of Hp could not be overlooked as Hp established the four type of praxis for ‘the awakening and ascending of Kuṇḍalinī’ which is the primary aim of Hatha yoga, and because it was transmitted from master to disciple according to the tradition that was held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ough the contents of the text Hp is undoubtedly authentic and extremely important, but the terms used at times is ambiguous. Some of the terminologies seems to be used inconsistently. For example, in Hp, the terms manas and citta have been used interchangeably even the same verse.
    I have tried to postulate the reason for the loose usage of these two terms. One reason could be that both citta and manas generally refer to mind and hence could be used interchangeably. The other possibility is that the author uses these terms to distinguish between mental functions and mind’s relation to outer objects. For example, the author may have used citta for referring to mental functions which is different from physical function and manas when referring to the mind’s relation with outer objects(or vice versa) or the other way round. But I could not come up with any theory that could be validated by the usage of manas and citta in Hp. There were no terminological rules that could satisy these hypothesizes.
    The most plausible explanation could be that the author used the terms in this fashion to maintain regularity of the standard rules of meter. In Sanskrit verse the meters are formed by combining heavy and light syllables (rhytmic structure) in various manners. To ensure that the customary form of a particular meter is retained, the author has at times used the term citta in place of manas and vice versa.
    Since 2011 I have been working on the translation of the Sanskrit text Haṭha(yoga)pradīpikā and also adding my commentary on it. My present hypothesis that in Hp certain essential Yoga terminologies have been replaced by alternative words sometimes of similar meaning and sometimes of ambiguous meaning, mainly to follow the standard meter rules; will be added as a appendix to my translation of Hp text.
    In this article I tried to analyze the different meters of the 389 verses. But this work is not the final aim of my writing. This is a prelude to my primary work which entails analysing the various alternative words used in place of the important terms in concurrence with the established meter ru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