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儒敎 心學의 맥락 형성에 관한 연구 先秦時代로부터 宋代에 이르기까지 (On the Constitution of Confucian Mind-learning Context-from Pre-Qin to Song China Er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0.11
32P 미리보기
儒敎 心學의 맥락 형성에 관한 연구 先秦時代로부터 宋代에 이르기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28권 / 1 ~ 32페이지
    · 저자명 : 유권종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화간 학문간 심에 대한 이해의 同異를 비교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심학의 맥락 형성에 관한 탐구를 시도한 것이다. 유교에서 심학이란 비록 송대에 성립하는 것이지만, 송대의 유학자들은 선진시대의 여러 경전에 담긴 심학적 노하우들을 일관된 체계로 엮어서 심학적 이상을 성취하는 과정을 설계하였다. 그러한 설계도를 하나의 경전의 체제로 나타낸 것이 『心經』이다. 주지하다시피 『심경』은 선진시대의 경전들로부터 선정한 경문과 송대 학자들의 수양 지침서를 하나로 연결한 것이다. 본 연구는 『심경』은 선진시대의 노하우들에 심학적 은유와 논리를 부여하여 새롭게 심학의 맥락을 구성한 것이며 또한 심학의 맥락이 자기발전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음에 주목하여 그 맥락적 특징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심학적 맥락의 형성과 지속을 가능하게 한 논리적 근거를 찾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심학적 심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근원적 은유를 이끌어내고 이에 근거하여 형성된 심학의 논리의 구조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그 은유는 심을 인심과 도심의 대립적 구도로써 보는 구조적 은유와 심으로써 중을 잡으라(執中)는 지향적 은유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에 입각해서 구성되는 심학적 논리를 4가지의 원리로 논의하였다. 그것은 선별의 원리, 중용의 원리, 응집의 원리, 창조의 원리이다.
    심학적 심이해의 특징은 자기강화적 방식, 자기교정적 방식, 그리고 자기생산적 방식을 세워서 성인의 인격을 성취하도록 해주는 가장 중요하고도 핵심적인 도구이자 주체로 心을 설정한 점에 있다. 그래서 그 심의 이해는 제심자적 관찰법으로는 설명하기 곤란한 내용들이 매우 많다. 그보다는 당사자적 관찰법을 익혀서 관찰해야 할 뿐 아니라, 그것을 養成하는 방법까지도 스스로 익히지 않으면 안된다고 보는 점에서 心은 자가적 관찰의 대상일 뿐 아니라 그 관찰의 주체이기도 하다. 그리고 심학적 심 이해의 특징은 단지 심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국한되지 않는다. 심을 통해서 인생 전체를 설계하고 진전시키는 과정을 중시하는 것이 곧 심학적 심 이해의 중요한 특징이다.

    영어초록

    This is a new attempt to reveal the contextual evolution of Confucian mind-learning as a fundamental research for the sake of compare the sameness and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e mind between the each different science or the each different culture. Confucian mind-learning had developed in the Song china, and the Confucian scholars had designed the course of attaining the goal of the mind-learning by organizing the know-hows of mind-learning in a consistent system. The Scripture of Mind is the systematized one. The Scripture includes maxims from Confucian Classics made in the Pre-Qin era and guide lines for the from confucian scholars of Song China in a text. It is remarkable that it constructed a new context of Mind learning by constructing the maxims of Classics with metaphors and logics of mind learning and thus could be a basi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ind learning.
    For this reason, root metaphors that make possible the understanding mind in accordance with viewpoints of mind learning are sampled and logical structure of the learning is also examined. One of the metam is a structual metaphor in which human mind and Tao mind is in conflict and the other is orientational one that indicate for the mind to grasp the golden mean. And the logics of the mind learning consist of four principles; selecting and concentrating, golden mean, cohesion, and creature. The peculiar feature of the mind learning is to set up the mind as the most significant core and the very subject which could achieve the sage’s character by establishing the self-reinforcing, self-correcting and self-organizing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