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기독론 논쟁이 영광송 (doxology) 에 미친 영향 - Gloria Patri 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ristological Debates on the Doxology: Gloria Patr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6.12
29P 미리보기
초기 기독론 논쟁이 영광송 (doxology) 에 미친 영향 - Gloria Patri 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48권 / 4호 / 199 ~ 227페이지
    · 저자명 : 현재규

    초록

    4세기에 하나님 아버지의 유일한 신성을 강조하기 위해 “아들은 계시지 않았던 적이 있었다”고 주장하며 아들의 신성을 문제 삼았던 아리우스의 주장은 초기 기독론 논쟁을 일으켰다. 이 아리우스주의로 촉발된 초기 기독론 논쟁의 모든 과정은 신학적 토론에만 집중되어 있지 않았다. 기독론은 예수 그리스도를 예배대 상으로 인정하느냐와 관련되어 있으니 그것은 그리스도인의 예배, 특히 찬송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결국 이 논쟁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영광송들을 통해 발전하여 불리던 기독교 고유의 삼위일체론적 영광송을 수정하게 했다. 기존의 영광송이 아리우스주의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왜곡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생겨난 것이 라틴어 가사 첫 소절 “글로리아 파트리”(Gloria Patri)로 표기되는 새 영광송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노래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확실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지금도 신학은 찬양의 가사로 표현되고 다시 찬송은 그리스도인 각 사람과 교회의 신앙을 형성하고 있다. 영광송 “글로리아 파트리”를 잇고 있는 영광송 “[찬양] 성부 성자 성령”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에는 원래의 “글로리아 파트리” 에는 명시되지 않는 “삼위일체” 또는 “성 삼위”라는 문구가 들어있다. 표면적으로이 삽입된 문구들은 한국교회가 영광송을 통해 전통적인 삼위일체 신앙을 계승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것이다. 또한 성부와 성자와 성령을 차례로 언급 하는 것으로 그치는 전통적인 형식에 만족하지 못하고 “삼위일체” 혹은 “성 삼위” 라는 개념을 추가하고 있는 것이 독특하다. 이로써 영광송을 부르며 한국 개신교 회는 삼위일체 신앙을 확인하면서도 ‘하나’에 대한 강조를 함께 붙드는 몸부림을 드러내고 있다.

    영어초록

    In the 4th century, Arius raised an early Christian controversy that questioned the divinity of the Son to emphasize the sole deity of God the Father by claiming that “there was a time when the Son did not exist.” The process of this controversy, sparked by Arianism, did not solely focus on theological debates. Because Christology was in relation to accepting Jesus Christ as the subject of worship, the debates were closely relevant to Christian worship — especially hymnals. The debate eventually led to revisions of the previous Trinitarian doxology that had developed from praise songs (from the Old and New Testaments), which could have been mistaken to support Arianism. As a result, a praise song called Gloria Patri arose. The revision process made evident that songs have definite influence, positive or negative, on the faith of Christians and the church.
    As theology is expressed through hymns, the hymns shape the Christian faith in return.
    For example, the Korean praise hymnals, “[Praise]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dd words such as “the Trinity” or “the holy three Persons” that are not in the original Gloria Patri. These additions signify that the Korean church is emphasizing the inherite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Trinitarian doxology. It is unique that these additional words supplement the traditional form of simply mentioning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therefore, is emphasizing the unity of the three Persons while confirming the Trinitarian faith by singing the songs of prai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