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명사상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연구 - 순자(荀子)에서 송대(宋代)까지 (A Study on the Periodic Change of Zhengmi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03
22P 미리보기
정명사상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연구 - 순자(荀子)에서 송대(宋代)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1권 / 393 ~ 414페이지
    · 저자명 : 김지훈

    초록

    공자의 정명사상은 논어에 등장한 이후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져 왔는데 공자 이후 정명을 본격적으로 다룬 인물은 순자이다. 순자의 정명은 이름 속에 들어있는 개념과 뜻을 올바르게 구분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순자는 명칭이 정해지면 실물이 분별되어 뜻이 통하게 되면 백성이 한결같아진다고 했다. 명칭이 있는 까닭은 상하와 귀천을 구별하기 위함이며 감각기관으로 구별한다. 명(名)은 고정된 실상이 없으며 약속으로 명명하는 것이다. 명(名)의 쓰임은 실상을 알게 하는 것이며 명(名)의 꾸밈은 쓰임을 쌓아올려 형식을 이루는 것이다. 순자의 정명은 이름과 사물의 관계 속에서 해석되었고 그 주체는 정치에 관여한 사람이다.
    이후 한대의 동중서·정현·마융을 비롯해 위나라의 왕숙·남북조 시대의 황간의 관점도 여기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런 관점은 당나라에 이르러서도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군서치요·예문유취와 같은 서적에서도 이런 관점이 드러난다. 다만 통전과 같이 정명을 예와 연결하여 도덕적·사회실천적으로 보는 관점도 존재했다.
    이런 정명관은 송대에 이르러 크게 변화한다. 형병의 경우 논어정의에서 정명을 예의 사회적 구분 기능을 중점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구양수·소식·소철·왕안석 등은 주로 정명을 나누어짐[分]의 문제로 보고, 정명을 현실 실천적 사회적 구분이나 사회적인 올바름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았다. 주희가 편집한 논어집주의 경우 도덕적 성격과 대의명분이 두드러진다. 공자 정명의 시대적 배경이 설명되기 시작한 것도 이런 맥락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인륜’·‘천리’·‘의로움’과 같은 단어에서 해석에 도덕적 성격이 짙어졌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Confucius' Zhengming(正名) thought has been studied by numerous scholars since it appeared in the Analects(論語). Among them, the person who dealt with Zhengming in earnest was Xun-Zi(荀子). Xun-Zi's Zhengming begins with properly distinguishing the concept and meaning contained in the name. Xun-zi said that when a name is decided, the real thing is distinguished, and when the meaning is communicated, the people become the same. The reason for the name is to distinguish the upper and lower from the noble and low, and it is distinguished by the sensory organ. A name does not have a fixed reality and is named as a promise. Xun-Zi's Zhengming was interpre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me and object, and its subject was a person involved in politics.
    Since then, including Dong Zhongshu, Zhèng Xuan, Ma Rong of the Han Dynasty and The viewpoints of Wang Su in the Wei Dynasty and Huang Kan in the perio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do not deviate greatly from this. This view does not seem to have changed much even in the Tang Dynasty. However, there was also a view of moral and social practice by connecting Zhengming to Li(禮).
    This view of Zhengming changed greatly in the Song Dynasty. In the case of Xing Bing, the social distinction function of Li in Lunyuzhengyi(論語正義) was interpreted with emphasis. And Ouyang Xiu, Su Shi, Su Zhe, Wang Anshi, etc. mainly saw Zhengming as a matter of division, and saw Zhengming as pursuing practical social division or social correctness. In the case of Lunyujizhu(論語集注) edited by Zhu Xi(朱熹), the moral character and cause stand out. It seems that it is because of this context that the background of Zhengming's era began to be expla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