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강점기 송병관의 학문관과 수양론의 내용과 성격 (A study on the academic view and the self cultivation at Confucianism of Song, Byeong-kwan on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4
33P 미리보기
일제 강점기 송병관의 학문관과 수양론의 내용과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90호 / 229 ~ 261페이지
    · 저자명 : 이정우

    초록

    송병관의 학문관과 수양론은 서로 연결된 것으로 상호상보의 관계였다. 그것은 송병관이 추구한 유학적 가치관이나 처신론과도 연결된 것이었다.
    1930년대에 송병관이 제시한 학문관은 『효경』을 텍스트로 정하여 효를 실천하면서 나타났다. 특히 그것은 부모에게서 받은 몸을 어떻게 지킬 것인가라는 인식과 관련되어 나타났는데, 일제에 대한 비판과 문화적 자존의식으로 발전되었다. 주경야독을 통한 학문론은 그의 넉넉지 못한 경제적 형편이 원인이기도 했지만, 일상 속에서 도를 추구하고 학문을 닦는 강한 의지의 실천이기도 했다. 1930년대 송병관의 『중용』을 원용한 수양론은 일제강점의 상황에서 오도산에 은둔하며 살고 있던 자신의 삶을 순리대로 받아들이고 성실하게 살겠다는 의지였다. 석가몰령의 수양론은 공자의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말과 장재의 ‘죽어도 편안할 것이다’라는 말을 종합하여 만든 것이었다. 자신은 ‘저녁에 죽어도 자신은 편안하다’라는 것으로 자신의 유학적 의지와 가치관을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1940년대에 송병관이 제시한 학문관은 『대학』을 텍스트로 하여 주자의 것을 따르면서 자신의 것으로 실천한 것이었다. 학문지도는 제자들을 자신의 집에서 직접 지도하는 방법과 제자의 집에서 제자가 혼자 공부하며 공부하는 방법이 있었다. 송병관은 학문을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지도한 내용 속에서 제자들이 절차탁마의 자세로 학문을 연마하도록 했다. 1940년대 송병관의 수양론은 주자와 공자가 제시한 수양방법 따라 그것을 자기 것으로 원용한 교인과 사무를 제시했다. 그것은 자신은 비록 산속에서 은둔해 살고 있지만 자신이 세운 유학적 가치를 수양하고 실천하겠다는 결의이기도 했다. 송병관 말년의 수양론은 극기복례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그는 당호도 ‘극재’로 정하고 임종직전까지 극기를 강조했다. 이런 의지는 일제강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강한 극기복례와 연결된 수양론의 승화였다.

    영어초록

    The academic view and the self cultivation at Confucianism of Song, Byeong-kwan were interconnected each other. It was also linked to the Confucian values or the behave theory.
    In the 1930s, Song's scholarly views appeared as he practiced filial piety by HyoGyeong. The theory of study through JookyungYaDok was caused by his poor economic condition, but it was also a practice of strong will to pursue the province and clean up his studies in everyday life. The theory of Song's “JoongYong” in the 1930s, was intended to accept his own life living in Mt Odosan. Seokgamolnyeong's theory of training was to practice his Confucian will and values, saying, ‘Even if you die in the evening, you are comfortable.’ In the 1940s, Song's academic views appeared in text form ‘DaeHak.’ Song's lecture was how to direct students at his homes and how to indirect study alone at students' homes. In a detailed and practical guide to learning, Song asked his students to polish their learning in a procedural manner. According to the method proposed by JhuJa and Confucius, Song presented the teaching used it as his own. The theory of Confucianism training in the latter years of him was to practice extreme practice. This was a sublimation of the strong will of practice to overcome the Japanese strengthed ru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