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숙재 송익흠의 ‘보아, 제사, 발인’ 관련 한글편지 해독 고찰 (Study on Deciphering of the Korean Letters Relating to ‘Boa, Jesa, Balin’ of Ohsukjae Song Ik-heu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5.03
28P 미리보기
오숙재 송익흠의 ‘보아, 제사, 발인’ 관련 한글편지 해독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1권 / 1호 / 93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순

    초록

    이 논문은 오숙재 송익흠(1708~1757)의 難解한 한글편지를 고찰하여 解讀하고, 이 편지의 干支를 推定하는 것이다. 조선시대에 필사체로 쓴 한글편지의 정확한 해독은 모든 학문의 기초 자료로써 인문학 연구의 선결 과제이다. 올바른 판독이 전제되지 않고는 오독으로 인하여 논문에 오류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송익흠이 부인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15편 중에서 ‘보아, 졔, 발인’과 내용의 연관이 있는 듯한 <한글간찰 52>, <한글간찰 59>, <한글간찰 61> 3편을 살펴보았다.
    송익흠의 한글편지는 기존의 판독과 해독이 책으로 출판되었으나 이 책을 참조하여 이견이 있는 부분을 수정하고자 하였다.
    송익흠의 한글편지 <52>, <59>, <61> 3편은 판독과 해석에서 각 편지의 원문도판을 실었고, 기존의 판독과 이견이 있는 부분은 글자를 굵게 써서 밑줄을 그었으며, 판독내역에서 기존의 판독과 이견이 있는 글자를 비교하였다. 해석에서는 판독과 주석에서 정정한 것을 토대로 고어를 현대어로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썼다. 해제에서는 각 편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간지를 추정하였다. 판독의 실제에서는 이견이 있는 글자를 송익흠의 다른 글자와 운필을 비교하여 초성·중성·종성의 개별 판독으로 비교하였다.
    송익흠의 글씨는 可讀性의 문제가 있긴 하였으나 운필의 일관성은 있었다. 초성 ‘ㅇ’은 두 번 운필하여 마무리하였으나 ‘ㄴ’과 판별이 난해하여 기존 판독과 이견이 있었다. 또한, 중성 ‘ㅕ’의 두 가로획은 실선으로 운필하여야 하나 허선으로 운필하였으며, 두 가로획 사이의 연결선은 虛線으로 운필하여야 하나 實線으로 운필하였으므로 판독할 때 난해하여 기존 판독과 이견이 있었다. 종성 ‘ㄱ’의 세로획은 왼쪽 사향으로 운필하였으나, 기존 판독에서 ‘ㄴ’으로 판독하여 이견이 있었다.
    송익흠의 한글편지 3편은 干支가 모두 없어 ‘보아, 졔, 발인’의 편지 내용과 날짜만으로 추정하였다. 이 편지 3편에 쓰여 있는 ‘보아’는 ‘報恩 官衙’를 뜻하며, 송익흠은 보은현감을 역임하였다. 보은현감으로 재직한 때는 1754년 12월 8일부터 1757년 11월 10일까지이다. ‘발인’은 숙조부 송병익의 재취부인 완산이씨가 1756년 4월 4일 타계하였다. ‘제사’는 조부 송병하(1646~1697.4.5.)가 4월 5일 제사이었다. ‘보아’, ‘제사’, ‘발인’과 관련된 편지는 <52>, <61>, <59>의 3편으로, 1756년 4월 16일~1756년 4월 26일까지 11일 사이에 걸쳐 소식을 보냈다. 그 결과 이 편지는 모두 송익흠이 보은현감 재직 때 보낸 편지로 내용이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52>는 1756년 4월 16일에, <61>은 1756년 4월 22일에, <59>는 1756년 4월 26일에 쓴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므로 이 편지는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52>→ <61>→ <59>의 차례로 편집되어야 한다.
    이미 송익흠 한글편지 15편에 대한 판독과 독해가 책으로 출판되었으나 필자와 견해를 달리하는 부분이 있어, 이와 비교하여 판독·주석·판독내역·해석을 수정하였다. 송익흠 한글편지의 干支 추정은 편지의 연결되는 내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난해한 송익흠 한글편지의 재해독은 오독으로 인해 논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ought to study and decipher the illegible letters of Ohsukjae Song Ik-heum (1708~1757) written in Korean alphabet and to assume the ganji (sexagenary cycle) of the letter. Accurate deciphering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in the scripts of the Joseon era is a prerequisite task of the humanities studies, as a basic material for all studies. This is because, without the presumption of proper decoding, many errors may occur in articles due to misreading. This article examined the three pieces of ‘Hangeul Ganchal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52,’ ‘Hangeul Ganchal 59,’ and ‘Hangeul Ganchal 61,’ which seems related in its contents to ‘Boa (Boeun Guana where public officials handled government works), Jesa (ancestral ceremony), Balin (coffin bearing ceremony) among the 15 letters written by using Korean alphabet, sent by Song Ik-heum to his wife Yeo Heung-min.
    The previous decoding and deciphering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has been published into a book, and this research sought to revise the conflicting parts by referring to this book.
    The three pieces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52,’ ’59,’ and ’61,’ contain the original plates of each letter in the decoding and interpretation sections, and parts conflicting with the existing decoding were underlined and marked in bold, and the letters conflicting with the existing decoding were compared in the decoding details section. In the interpretation section, the archaic words were written in an easy way in contemporary language to allow easy understanding based on the revisions made in the decoding and annotation sections. In the section providing general explanation of the letters, the contents of each letter were analyzed to estimate the ganji. In the actual decoding section, conflicting letters were compared by individual decoding of the initial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by comparing with the other letters and writings of Song Ik-heum.
    The letters of Song Ik-heum have an issue of readability, but his writings show consistency. The initial consonant ‘ㅇ’s were finished by writing it twice, but, due to the difficulty of distinguishing it with ‘ㄴ,’ a conflict appeared with the existing decoding. In addition, the two horizontal strokes of the vowel ‘ㅕ’ had to be written in a solid line, but it was written in an imaginary line, and the connecting line between the two horizontal strokes had to be written in an imaginary line, but it was written in a solid line. Therefore, a conflict was shown with the existing decoding due to the difficulty in decoding. The vertical stroke of the final consonant ‘ㄱ’ was written in a left skewed direction, but it was decoded into ‘ㄴ’ in the existing decoding, resulting in a conflict.
    The three pieces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all lacked ganji, and thus, was estimated only based on the contents and dates of the letters of the ‘Boa, Jesa, Balin.’ The ‘Boa’ written in the three letters means ‘a place where public officials handled government works at Boeun,’ while Song Ik-heum served as a Boeunhyeongam. The period whern he served as a Boeunhyeongam was from December 8, 1754 to November 10, 1757. ‘Balin’ means the death of Lee from Wansan, the second wife of Song Byeong-ik, the brother of his grandfather, on April 4, 1756. ‘Jesa’ means the ancestral ceremony held on April 5 for his grandfather Song Byeong-ha (1646~1697.4.5). The letters relating to ‘Boa,’ ‘Jesa,’ and ‘Balin’ are ’52,’ ’61,’ and ’59,’ which were sent between the eleven days from April 16, 1756 to April 26, 1756. As a result, these letters have connected contents, as they were sent while Song Ik-heum served as a Boeunhyeongam. Therefore, it could be assumed that ‘52’ was written on April 16, 1756, ‘61’ on April 22, 1756, and ‘59’ on April 26, 1756. Consequently, when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se letters, the letters should be compiled in the order of ‘52’ à ‘61’ à ’59.’Although the decoding and reading of the 15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have been published in a book, some parts of the book differ from this writer’s perspective. Therefore, the decoding, annotation, decoding details, and interpretations were modified by making comparisons. Assuming the ganji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provided a key to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connected contents of the letters. The re-deciphering of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phabet by Song Ik-heum may allow to prevent in advance the errors that may occur in articles due to misrea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