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宋代 鄭樵 書畵同出論의 서화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Zhèng Qiáo (鄭樵)’s Understanding of SeoHwa (書畵: Calligraphy and Painting) based on his Theory of SeoHwaDongChul (書畵同出: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beginning from same root) in the Era of So)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03
21P 미리보기
宋代 鄭樵 書畵同出論의 서화인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42호 / 187 ~ 207페이지
    · 저자명 : 김은아

    초록

    본 논문은 정초가 왜 문자학에 중점을 두고 서화의 관계성을 인식하면서 서화동출을 제기하였는지를 밝힌 것이다. 장언원(張彦遠)이 주장한 서화동체 사유는 송대에 오면 정초(鄭樵)에 의해 서화동출론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정초는 서와 화의 동출의 의미를 문자학에 두면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본 고에서 규명한 정초의 서화동출론(書畵同出論)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육서에서 상형을 우선으로 두고 문언의 근본인 육서는 상형인 그림으로 형(形)을 취한다는 것이다. 그림인 화(畵)는 도(道)를 전달하고, 서화는 같은 근원에서 나왔기에 서화동출(書畵同出)임을 주장하였다. 둘째, 정초가 서화동출에서 언급하는 사유들에는 『주역』에 근거를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문자의 기원 및 활용과 관련된 조자(造字) 사유에『주역』의 논리를 통해 설명하는 사유를 보인다. 셋째, 도(圖)는 학문의 성취 여부를 가늠할 수 있으며, 이 같은 도(圖)의 역할과 비중은 나라의 기틀을 세우는데 기여할 만큼 크다는 점에서 서화병용(書畫竝用)은 실용적인 면이 강하다. 넷째, 정초의 서화동출론과 장언원의 서화동체론은 일치성 및 동일성이 있다. 이 같은 정초의 서화인식은 서화의 역할 가치를 학문적 지위로 제고시켰고 학문적 테두리에서 서화의 실용성을 강조하였다. 정초는 결론적으로 서화가 학문의 성취를 돕고 나라의 기틀을 세우는데 기여 한다는 인식은 예술철학적 차원에서 육적과 공효를 같이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resents why Zhèng Qiáo understood the relation between Seo and Hwa focusing on graphonomy to raise the theory of SeoHwaDongChul. Zhāng Yàn Yuǎn (張彦遠)’s thoughts of SeoHwaDongChe (書畵同體: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same as each other) led to the theory of SeoHwaDongChul suggested by Zhèng Qiáo in the era of Song dynasty. Zhèng Qiáo drew the meaning of DongChul of Seo and Hwa from graphonomy to develop his thoughts. The essences of his theory of SeoHwaDongChul investigated for this article are: First, YukSeo (六書: the theory of explaining about the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six types) puts priority onto SangHyeong (象形: a type of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He thought that YukSeo could not help putting such priority to Hyeong (形: shape) as literacy and language should be based on SangHyeong, painting. Hwa delivers Thao, and Seo and Hwa come out of same root, which itself means SeoHwaDongChul. Second, his theory of SeoHwaDongChul is based on I-Ching.
    In particular, his thoughts of such show that he tried to explain about the origin, usage and formation of characters through the logic of I-Ching. Third, Doh (圖: picture or figure) shows whether academic goal has been achieved. which means the role and weight of Doh are big and heavy enough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structure of a country. That is, the theory of SeHwaByengYong (書畫竝用: Seo and Hwa should be used together) is more for practice than for any other else. Fourth, Zhèng Qiáo’s theory of SeoHwaDongChul and Zhāng Yàn Yuǎn’s theory of SeoHwaDongChe look accord and same with each other. Such Zhèng Qiáo’s understanding of SeoHwa raised the role value of SeoHwa to an academic position and emphasized practicality of SeoHwa in academic boundary.
    In conclusion, Zhèng Qiáo’s understanding that SeoHwa helps academic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structure of a country is an argument that SeoHwa plays the role as same as that of YukJeok (六籍: six Confucian classics) at artistry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